端陽日登百祥樓[단양일등백상루] 李廷龜[이정구]
단오일에 백상루에 올라가.
天涯物色登臨地[천애물색등림지] : 하늘 끝의 물색에 땅을 지키며 오르면서
劍外山河鼓角時[검외산하고각시] : 검각 밖의 산과 강을 북과 나팔이 엿보네.
病眼摩挲猶望遠[병안마사유망원] : 병든 눈 문지르며 오히려 멀리 바라보다
枯腸抖擻强吟詩[고장두수강음시] : 빈 속에 정신차려 일어나 억지로 시 읊네.
牙箏只供殊方樂[아쟁지공수방악] : 아쟁으로 단지 다른 나라 음악 베풀면서
角黍還添舊節悲[각서환첨구절비] : 웃기떡 돌아보며 옛 풍류에 슬픔 더하네.
時天兵彈箏于樓上[시천병탄쟁우루상]又主倅饋吾等以角黍[우주쉬궤오등이갓서]故云[고운]
이때 중국 병사가 누각 위에서 아쟁을 연주하였고,
또 그 고을 원님이 우리에게 각서를 대접했기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日暮歸心隨水遠[일모귀심수수원] : 해 저물어 돌아가고픈 마음 먼 강물 따르고
曲欄徙倚轉凄其[곡란사의전처기] : 굽은 난간 배회하려니 이미 더욱 처량하네.
劍外[검외] : 劍閣山[검각산] 이남 지방, 사천성 蜀[촉]지방.
大劍[대건]과 小劍[소검], 두 산의 要害處[요해처]로, 외진 변방을 뜻.
枯腸[고장] : 마른 창자, 빈 속.
抖擻[두수] : 물건을 듦, 정신을 차려서 일어남. 頭陀[두타].
角黍[각서] : 주악, 웃기떡의 한 가지, 찹쌀가루로 만드는 송편 비슷한 떡.
徙倚[사의] : 이리저리 왔다 갔다 함, 배회하다, 한가롭게 슬슬 걷다.
月沙先生集卷之一[월사선생집1궝] 三槎酬唱錄[삼사수창록]
李廷龜[이정귀] : 1564-1635, 자는 聖徵[성징], 호는 月沙[월사]·保晩堂[보만당]
癡菴[치암]·秋崖[추애]·習靜[습정]. 시호는 文忠[문충]
1598년(선조 31)에 명나라의 병부주사 丁應泰[정응태]가 임진왜란이
조선에서 왜병을 끌어들여 중국을 침범하려고 한다는 무고사건을 일으켰다.
이정귀는 「戊戌辨誣奏[무술변무주]」를 작성하여 陳奏副使[진주부사]로
명나라에 들어가 정응태의 주장이 아무런 근거가 없음을 밝혀 그를 파직시켰다.
'한시 여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午涼[오량] (0) | 2023.06.06 |
---|---|
官柳吟[관류음] (3) | 2023.06.06 |
途中[도중] (0) | 2023.05.10 |
題錦城女史芸香畵蘭[제금성여사운향화란] (0) | 2023.04.24 |
遊洗心臺遇雨[유세심대우우] (2) | 2023.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