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寓崇德寺[신우숭덕사]
李穡[이색]
새로 숭덕사에서 우거하며.
千車萬馬九街頭[천거만마구가두] : 천 수레 만마리 말에 많은 거리 위에
咫尺祇林境自幽[지척지림경자유] : 지척의 큰 숲엔 경계가 절로 그윽하네.
枸杞暎堦紅欲滴[구기영계홍욕적] : 뜰을 덮은 구기자 붉어 떨어지려 하고
蒲萄滿架翠如流[포도만가취여류] : 시렁 가득 포도 푸르게 바뀌는 것 같네.
僧窓寄食前生事[승창기식전생사] : 스님 창에 밥 얻어 먹음 전생의 일이요
客枕思親半夜愁[객침사친반야수] : 객지 잠자리 어버이 생각 한밤 시름겹네.
屈指歸軒今到未[굴지귀헌금도미] : 돌아간 수레 손 꼽으니 아직 이르지 못해
鎭江煙雨滿漁舟[진강연우만어주] : 진강의 안개 비는 고깃배에 가득하겠네.
崇德寺[숭덕사] : 중국 원나라 수도 연경 인근의 사찰로 추정.
이색은 1348년(충목 4) 3월 원나라에 가서
국자감의 생원이 되어 성리학을 연구하다
1351년(충정 3) 아버지 상을 당해 귀국하였다.
寄食[기식] : 남의 집에 머무르며 밥을 얻어 먹으며 지냄.
客枕[객침] : 손님용의 베개 客地[객지]의 방에 외로이 누운 잠자리.
鎭江[진강] : 저자의 고향인 韓山[한산]에 있는 鎭浦[진포].
牧隱詩藁卷之二[목은시고2권] 詩[시]
李穡[이색, 1328-1396] : 자는 穎叔[영숙], 호는 牧隱[목은].
1395년(태조 4)에 韓山伯[한산백]에 봉해지고,
이성계의 출사 종용이 있었으나 끝내 고사하고
이듬해 驪江[여강]으로 가던 도중에 죽었다.
'한시 여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題錦城女史芸香畵蘭[제금성여사운향화란] (0) | 2023.04.24 |
---|---|
遊洗心臺遇雨[유세심대우우] (2) | 2023.04.19 |
古意[고의] (0) | 2023.04.06 |
五月十一日夜[오월십일일야]始聞草蟲聲[시문초충성] (0) | 2023.03.30 |
夏日村居戲作[하일촌거희작]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