挽李僉知[만이첨지] 壽俊[수준]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이첨지 수준의 만사.
世日趨澆僞[세일추요위] : 세상은 나날이 경박하게 잘못 달리는데
唯君老益眞[유군로익진] : 오직 그대는 진실 더하다 생애를 마쳤네.
風流今杜保[풍류금두보] : 풍치있게 즐기는 일은 오늘날 두보이고
氣槩舊希文[기개구희문] : 기백과 절개는 옛날의 범중엄과 같았네.
書報乘楂信[서보승사신] : 편지로 뗏목을 타자는 소식 알려왔는데
人亡返國春[인망반국춘] : 사람은 죽고 고향엔 봄만이 되돌아오네.
逢迎只旅櫬[봉영지려츤] : 맞이해 만나는건 다만 나그네의 널이니
危涕滿停雲[위체만정운] : 두려운 눈물과 머무는 구름만 가득하네.
李壽俊[이수준 : 1559-1607], 자는 台徵[태징], 1590년 문과 급제, 공주목사, 길주목사 역임.
1606년(선조 39)에 正朝使[정조사]로 明[명] 나라에 갔다가 다음 해에 돌아오던 도중 鳳山[봉산]에서 죽음.
杜保[두보] : 後漢[후한] 때 문신으로 자는 季良[계량], 특히 의협심이 강하기로 유명하였다.
伏波將軍[복파장군] 馬援[마원]이 말한 ‘畵虎類狗[화호유구]’에 나오는 인물임. 後漢書 卷24[후한서24권].
希文[희문] :范仲淹[범중엄 : 989-1502]의 자, 특히 氣節[기절]을 숭상하였고, 威嚴[위엄]과 兵略[병략] 뛰어남,
변방을 지킬 적에는 오랑캐들이 龍圖老子[용도노자]라 호칭하였고, 또한 "小范老子[소범노자]의 가슴 속에는
數萬[수만]의 甲兵[갑병]이 들어 있다.”며 서로 경계하기까지 했었다 함. 宋史 卷314[송사314권].
停雲[정운] : 陶潛[도잠]의 시 제목으로 친구를 생각하는 간절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白沙先生集卷之一[백사선생집1권] 詩[시] 1629년 간행본 인용
한국고전번역원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1991 이항복[1556-1618].
'李恒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宣宗大王挽[선종대왕만]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0) | 2019.12.12 |
---|---|
挽柳西厓[만유서애]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0) | 2019.09.30 |
偶吟[우음] (0) | 2017.11.10 |
閣夜[각야] (0) | 2017.11.09 |
偶吟[우음] (0) | 2017.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