寄申敬叔[기신경숙] 李恒福[이항복]
신 경숙에게 부치다.
兩地俱爲放逐臣[양지구위방축신] : 두 땅에서 모두 쫒겨 추방당한 신하가 되니
中間消息各沾巾[중간소식각첨건] : 둘 사이의 소식에 따로따로 수건을 적시네.
淸平山下昭陽水[청평산하소양수] : 청평의 산 아래에 있는 소양강의 강물은
日夜西流到廣津[일야서류도광진] : 밤 낮으로 서쪽으로 흘러 관 나루에 이르네.
申敬叔[신경숙] : 申欽[신흠 : 1566-1628]의 자.
호는 玄軒[현헌], 象村[상촌], 玄翁[현옹], 放翁[방옹]
이 시는 李元翼[이원익]이 읊은
',和申象村[화신상촌], 신상촌에게 화답하다'와
1, 2, 3구는 똑 같고, 마지막 4구만
" 日夜東流到漢津[일야동류도한진] :
밤 낮으로 동으로 흘러 한강 나루에 이르네."
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상촌 신흠이 1616년 仁穆大妃[인목대비]의 폐비 및 이와 관련된
金悌男[김제남]에의 加罪[가죄, 죄를 더함]와 함께 다시 논죄된 뒤
춘천에 유배되었으며, 1621년에 사면되었으니 그 사이에 지은 시 같습니다.
이원익 또한 대비폐모론을 반대하다가 홍천으로 유배되었다가 여주로 이배 된 뒤
1623년 인조반정으로 풀려나며 영의정으로 복귀합니다.
白沙先生集卷之一[백사선생집1권] 詩[시] 1629년 간행본 인용
한국고전번역원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1991 이항복[1556-1618].
'李恒福' 카테고리의 다른 글
讀史有感[독사유감] (0) | 2021.07.07 |
---|---|
八月初九日[팔월구일]中風[중풍]戲成[희성] (0) | 2021.07.04 |
送李尙古聘日本[송이상고빙일본], (0) | 2021.06.21 |
春日[춘일]過南子安舊居[과남자안구거] (0) | 2021.06.14 |
順生娶妻[순생취처]新婦來見[신부래견] (0) | 2021.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