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磵[남간]贈成則優[증성칙우] 林悌[임제]
남쪽 골짜기에서 칙우 성호선에게 주다.
京洛故人在[경락고인재] : 서울에는 오래된 친구가 있는데
弊廬南磵邊[폐려남간변] : 농막은 남쪽 골짜기 가에 가려있네.
園林倚碧岫[원림의벽수] : 동산 숲은 푸른 산봉우리에 기대고
淸白是靑氈[청백시청전] : 맑고 깨끗하니 무릇 푸른 담요같네.
行世無長策[행세무장책] : 행세를 함에 좋은 계책도 없지만
知心有老天[지심유로천] : 서로의 마음을 아는 하늘이 있다네.
巖扉謝俗駕[엄비사속가] : 바위 문에서 속인의 멍에 물리치며
只合醉餘眠[지합취여면] : 다마 취한 나머지 잠들기 적합하네.
則優[칙우] : 成好善[성호선,1552-?]의 자, 호는 月簑[월사].
병조좌랑, 충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行世[행세] : 사회에서 사람의 도리를 행함. 또는 그 태도.
격에 맞지 않은 처신을 함. 또는 그런 짓.
長策[장책] : 좋은 계책, 승산.
知心[지심] : 마음이 서로 통하여 잘 앎.
巖扉[암비] : 바위굴의 문, 은둔자가 사는 집.
林白湖集[임백호집] 卷之一[권지일] 五言近體[오언근체]
林悌[임제, 1549-1587] : 자는 子順[자순], 호는 白湖[백호], 楓江[풍강] 등.
서북도 병마평사로 임명되어 임지로 부임하는 길에 황진이의 무덤을 찾아가
시조 한 수를 짓고 제사지냈던 일과 기생 寒雨[한우]와 시조를 주고받은 일,
평양기생과 평양감사에 얽힌 일화도 유명하다.
'백호 임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苦熱[고열] (2) | 2024.06.05 |
---|---|
醉呈朴使相[취정박사상] (0) | 2024.06.01 |
題鉅野金丈家[제거야김장가] (0) | 2024.05.17 |
雨餘吟[우여음] (2) | 2024.05.14 |
入中興洞[입중흥동] 次天遊子鄭之升[차천유자정지승] (0) | 2024.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