二日[이일]到維新[도유신] 10-4
寄金重遠遊俗離山[기김중원유속리산]
黃俊良[황준량]
2일에 유신에 이르러
속리산을 유람하는 김중원에게 부치다.
遊食桑門盡屬厭[유식상문진속염] : 절에서 일 없이 놀고 먹는 무리 모두 싫을 뿐인데
書生攻苦只虀鹽[서생공고지제염] : 서생은 다만 소금에 절인 채소로 힘들게 공부하네.
庠田量出知多少[상전량출지다소] : 학전에서 나오는 량이 많고 적음을 알게 되거든
不比從前歲取廉[불비종전세피렴] : 이전까지랑 비하지 말고 해마다 살펴서 취하게나.
金以學田量事[김이학전량사]來報恩等地[래보은등지]
김중원이 학전을 헤아리는 일로 보은 등지에 왔다.
維新[유신] : 옛날 忠州[충주]의 강호, 降其邑號[강기읍호] 읍호를 강등한 이름.
重遠[중원] : 金弘度[깅홍도,1524-1557]의 자, 호는 南峯[남봉], 萊峯[내봉].
1548년(명종3) 별시 문과에 장원하고 경연관이 되었으며,
賜暇讀書[사가독서] 중에도 정치 폐단을 강력히 간하였다.
典翰[전한]으로 재직 중에 小尹[소윤] 尹元衡[윤원형]에 의하여
甲山[갑산]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遊食[유식] : 하는일 없이 놀고 먹음.
桑門[상문] : 불교를 믿는 사람.
書生[서생] : 유학을 공부하는 사람, 글만 읽어 세상사에 서투른 선비.
攻苦[공고] : 학문을 열심히 연구함.
庠田[상전] : 學田[학전]을 달리 이르는 말.
學田[학전] : 교육기관의 경비를 조달하기 위해 국가에서 지급하던 토지.
黃俊良[황준량,1517-1563] : 자는 仲擧[중거], 호는 錦溪[금계]
신녕현감, 단양군수, 성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退溪[퇴계] 李滉[이황]의 제자. 1557년(명종12) 3월 2일에 지었다.
이보다 한 해 전인 1556년 겨울에 황준량은 병으로 사직한 뒤
이곳저곳을 유람하기 시작한다. 그러다 忠州[충주]에 도착했을 때,
그와 교분이 있던 김홍도가 마침 속리산을 유람하고 있었다.
이때 황준량이 그에게 지어 보낸 시이다.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鏡浦㙜[경포대] (0) | 2024.06.19 |
---|---|
鏡浦臺경포대] 御製詩[어제시] (0) | 2024.06.16 |
二日[이일]到維新[도유신] 10-3 (0) | 2024.05.07 |
初到孟州[초도맹주] 造貢墨處[조공묵처] (0) | 2024.05.04 |
過月出山[과월출산] (0) | 2024.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