陶山雜詠[도산잡영] 十八絶[십팔절] 七言 退溪 李滉[퇴계 이황]
11. 谷口巖[곡구암]
東躡江臺北入雲[동서강대북입운] : 동쪽엔 강의 대가 따르고 북쪽엔 구름이 들어
開荒谷口擬山門[개황곡구의산문] : 골짜기 입구 개척하여 산의 문으로 견주리라.
此名偶似前賢地[차명우사전현지] : 이 이름이 마침 이전 현인의 거처와 같으니
耕隱風聲詎易論[경은풍성거이론] : 숨어 밭을 갈며 풍성을 어찌 쉬이 논하리오.
賢地[현지] : 漢[한]의 處士[처사] 鄭子眞[정자진]이 谷口[곡구]에 숨어 밭을 갈고 살았슴.
風聲[풍성] : 風格[풍격]과 聲望[성망], 들리는 名聲[명성], 바람 소리.
退溪先生文集卷之三[퇴계선생문집3권] 詩[시]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9 인용.
'이 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陶山雜詠[도산잡영] 十八絶[십팔절] 13. 天光雲影臺[천광운영대] (0) | 2018.06.14 |
---|---|
陶山雜詠[도산잡영] 十八絶[십팔절] 12. 天淵臺[천연대] (0) | 2018.06.14 |
陶山雜詠[도산잡영] 十八絶[십팔절] 10. 止宿寮[지숙료] (0) | 2018.06.13 |
陶山雜詠[도산잡영] 十八絶[십팔절] 9. 時習齋[시습재] (0) | 2018.06.12 |
陶山雜詠[도산잡영] 十八絶[십팔절] 8. 觀瀾軒[관란헌] (0) | 2018.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