聞[문]祔廟禮罷[부묘례파]街衢獻謠[가구헌요]
都人擁觀[도인옹관]儀物甚盛[의물심성]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듣기에 부묘의 례를 마치고 거리에서 노래를 올리는데
도회지 사람들이 지켜 보면서 의물이 매우 성대하였다 한다.
宗祀初成玉輦歸[종사초성옥련구] : 종묘 제사를 비로소 마치고 어가가 돌아가니
䦨街爭奏鳳來儀[난가쟁주봉래의] : 거리를 가로막아 봉래의를 다투어 연주하네.
梨園勿用新翻曲[이원물용신번곡] : 장악원에서는 새로 번역한 곡을 쓰지 마시게
更唱魴魚赬尾辭[경창방어정미사] : 번갈아 방어의 붉어진 꼬리 가사를 불러주오.
祔廟[부묘] : 삼년상을 마치고 신주를 모시는 일.
儀物[의물] : 의식에 쓰이는 여러가지 도구니 물건.
玉輦[옥련] : 輦[련]을 높이어 이르는 말, 임금이 타는 수레.
鳳來儀[봉래의] : 세종 대왕이 태조의 창업 공덕을
칭송하기 위하여 창작한 궁중 정재.
梨園[이원] : 掌樂院[장악원]을 달리 이르는 말.
魴魚赬尾[방어정미] : 방어의 꼬리는 본디 희지만 과로하면 붉어진다는 뜻,
백성들의 苦役[고역]을 비유. 詩經[시경] 周南[주남] 汝墳[여분]
白沙先生集卷之一[백사선생집1권] 詩[시] 1629년 간행본 인용
한국고전번역원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1991 이항복[1556-1618].
'李恒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偶題盤石[우제반석] (0) | 2021.01.23 |
---|---|
星男陷在逆獄[성남함재역옥]父無獨生之理[부무독생지리] (0) | 2021.01.16 |
卜築無任江上[복축무임강상] (0) | 2021.01.08 |
還途[환도]入龍門山[용문산] (0) | 2021.01.05 |
登鳳凰臺[등봉황대] (0) | 2021.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