盲卜來言余厄年[맹복래언여액년]
問可度否[문가도부]當用幾貨則曰[당용기화즉왈]
用黃梁一斗[용황량일두]麻布數尺足矣[마포수척족의]
不覺捧腹戲題[불각봉복희제]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장님 점쟁이가 와서 나의 운수 사나운 해를 말하기에.
가히 통과할 수 없느냐 묻고 마땅한 비용에 대해 물으니
누른 기장 한 말에 삼베 몇 자면 족하다 하기에
나도 모르게 배를 끌어안고 희롱하며 쓰다.
門外新年賣卜人[문외신년매복인] : 새해 되니 문 밖에 점을 파는 사람 있어
多言時或中如神[다언시혹중여신] : 무두들 때로는 신같이 잘 맞힌다 말하네.
可憐男子堂堂命[가련남자당당명] : 가히 불쌍하이 사내 자식의 당당한 운명
只直粗麻一布巾[지직조마일포건] : 고작 거친 삼베 한 조각과 맞 먹는구나 !
卜人[복인] : 점을 치는 사람.
白沙先生集卷之一[백사선생집1권] 詩[시] 1629년 간행본 인용
한국고전번역원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1991 이항복[1556-1618].
'李恒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將娶婦入城[장취부입성] (0) | 2021.05.06 |
---|---|
客有來問[객유래문] (0) | 2021.04.25 |
重九[중구]偶遊寧國書院[우유영국서원 (0) | 2021.03.30 |
歸途。登峨嵯嶺。望見漢陽。悵然賦此 (0) | 2021.03.23 |
東岡屋成喜題[동강옥성희제] (0) | 2021.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