府館樓上卽事[부관루상즉사]和文谷相公[화문곡상공]
東里李長卿舊題板上柳梢靑詞[동리이장경구제판상유초청사]
관청 객사 누각 위에서 문곡 상공에 화답하다.
동리 이장경이 옛날에 판 위에 유초청사를 적었다.
霽月堂 宋奎濂[제월당 송규렴]
綠水長橋[녹수장교] : 푸른 물에 긴 다리
高樓西畔燕輕鶯嬌[고루서반연겅앵교] : 서쪽 지경의 높은 누각에 제비는 빠르고 꾀꼬리 아름답네.
習習薰風[습습훈풍] : 훈풍은 보드랍게 불어오고
遲遲麗日[지지려일] : 밝은 해는 천천히 오래가네.
柳拂瓊條[유불경조] : 바람부는 버드나무의 옥 가지에서
堤頭嫩絮初飄[제두눈서초표] : 가벼운 솜꽃이 제방 머리에 날리기 시작하네.
倚欄處明月淸宵[의란처명월청소] : 밝은 난간에 기대니 밤의 달빛은 맑은지라
一曲纖歌[일곡섬가] : 한 곡을 부드럽게 노래하네.
三杯綠酒[삼배록주] : 맛 좋은 술 석 잔에
羈恨難消[기한난소] : 나그네 한을 삭이기 어렵구나.
文谷[문곡] : 金壽恒[김수항 : 1629-1689]의 호, 자는 久之[구지], 1664년 6월 과거를
주관하는 관리로 임명되어 이곳을 방문. 文谷集 卷9[문곡집 9권] 辭北道試官疏[사북도시관소]
長卿[장경] : 李殷相[이은상 : 1617-1678]의 자, 호는 東里[동리]. 안변 부사를 지냄.
柳梢靑詞[유초청사] : 김수항의 유초청사는 文谷集[문곡집] 2권에 수록된
效秦少游柳梢靑小令賦得別 懷追寄長卿[효진소유유초청소령부득별회추기장경]이고,
李長卿[이장경]의 유초청사는 東里集[동리집 권6의
直廬口占柳梢靑贈別關西李方伯泰淵[직려구점 유초청증별관서이방백태연]과
龍堂口占柳梢靑二小令[용당구점유초청이소령]이 있다.
習習[습습] : 서늘한 바람이 가볍고 보드랍게 잇달아 붊.
薰風[훈풍] : 첫 여름에 부는 훈훈한 바람.
霽月堂先生集卷之二[제월당선생집2권] 詩[시] 1819 간행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94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3667 한국문집총간 137.
'霽月堂 宋奎濂' 카테고리의 다른 글
鶴湖作 (0) | 2019.01.02 |
---|---|
龍興江[용흥강] (0) | 2019.01.01 |
效柳梢靑詞[효류초청사]錄奉舊按使李幼初[록봉구안사이유초]端錫[단석] 令公[영공] (0) | 2018.12.29 |
府齋述懷[부재술회] (0) | 2018.12.29 |
鐵嶺[철령] 霽月堂 宋奎濂[제월당 송규렴] (0) | 2018.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