初在東江[초재동강]靈山君有同老之約[영산군유동로지약]及來蘆原[급래노원]
李僉知[이첨지], 兪監司相繼來訪[유감사상계래방]俱有杖屨朝夕之言[구유장구조석지언]
不日[불일]靈山買宅入城[영산매택입성]
僉知亦入城造家[첨지역입성조가]兪公亦出按海西[유공역출안해서]
余獨趑趄湘中[여독자저상중]戱成一絶[희성일절]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처음 동강에 있으면서 영산군이 늙으막에 함께하자는 약속이 있어 노원에 함께오니
이첨지와 유감사가 서로 이어서 내방하여
모두 조석으로 지팡이와 신을 함께하자는 말이 있었다.
며칠이 않되어 영산군은 집을 사서 성으로 들어가고,
첨지 또한 성으로 들어가 집을 지었으며
유공 또한 해서를 순찰하러 나갔으니
나만 홀로 상중에 머뭇거려 망설이며 희롱하듯 절구 하나를 이루다.
莫以蘭爲恃[막이난위시] : 난초를 생각하는 대로 믿지 말게나
京塵喜染衣[경진희염의] : 서울 티끌이 옷을 물들이니 좋아하네.
山雲亦何事[산운역하사] : 산중의 구름들은 또한 어떠한 일로
出岫去無歸[출수거무귀] : 산굴에서 나와도 돌아갈 곳이 없구나.
杖屨[장구] : 지팡이와 신, 이름난 사람이 머문 자취를 말함.
不日[불일] : 不日內[불일내]의 준말, 며칠이 걸리지 않는 동안.
趑趄[자저] : 머뭇거리며 망설임.
白沙先生集卷之一[백사선생집1권] 詩[시] 1629년 간행본 인용
한국고전번역원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1991 이항복[1556-1618].
'李恒福' 카테고리의 다른 글
梧老數使人相問[오로삭사인상간] (0) | 2020.10.13 |
---|---|
題壁[제벽] (0) | 2020.10.07 |
秋日[추일] (0) | 2020.09.26 |
秋日遊道峯山[추일유도봉산] (0) | 2020.09.17 |
偶成[우성] (0) | 2020.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