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겨울

上元[상원]兒輩放紙鳶[아배방지연]

돌지둥[宋錫周] 2025. 2. 11. 16:34

上元[상원]兒輩放紙鳶[아배방지연]

謂之送厄[위지송액]戱題其背[희제기배]

尹愭[윤기]

보름날 아이들이 종이연을 날려 보내며

액을 떠나 보낸다고 하기에 장난삼아 그 뒤에 쓰다.

 

放爾千山萬水過[방이천산만수과] : 너를 놓아 보내니 천 산과 일만 강을지나가

乘風一去入無何[승풍일거입무하] : 바람 타고 한번 떠나 아무일 없이 떨어지게.

多少今年諸厄會[다소금년제액회] : 올 한 해 만나게 될 많고 적은 액운들을

殷勤爲我盡消磨[은근위아진소마] : 나를 위하여 모조리 사라지게 해 주게나..

 

無何[무하] : 머지 않다, 아무 일도 없다, 오래지 않다, 아무렇지도 않다.

연날리기는

음력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까지

전국에서 두루 행해졌던 민속놀이인데,

보름이 지나면 날리지 않는 것이

암묵적인 관행이기 때문에

대보름이 되면 연의 등에다

厄[액], 送厄[송액], 送厄迎福[송액영복] 등의

글자를 써서 띄우고

얼레의 실을 모두 푼 다음

실을 끊어 멀리 날려 보낸다.

이는 액막이의 의미를 담은 행위로,

‘厄[액]연 띄우기’라고 한다.

 

無名子集詩稿册六[무명자집시고책륙] / 詩[시]

尹愭[윤기,1741-1826] : 자는 敬夫[경부], 호는 無名子[무명자]

  남포현감, 황산찰방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한시 겨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與梧陰泛舟漢江[여오음범주한강]  (0) 2025.02.06
次晚翠堂韻[차만취당운]上牛溪先生[상우계선생]  (0) 2025.02.04
冬月[동월]  (0) 2025.01.20
詠雪[영설]  (0) 2025.01.18
題丁未新曆[제정미신력] 4-3  (0) 2025.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