述志[술지] 吉再[길재]
사사로운 생각을 짓다
臨溪茅屋獨閑居[임계모옥독한거] : 시냇가 초가집에 홀로 한가롭게 사니,
月白風淸興有餘[월백풍청흥유여] : 달은 밝고 바람 맑아 흥취는 여유가 있음이라.
外客不來山鳥語[외객불래산조어] : 바깥 손님 오지 않고 산새들만 지저귀니,
移床竹塢臥看書[이상죽오와간서] : 평상을 대밭으로 옮겨 누워 책을 봄이라.
吉再[길재 : 1353∼1419 (고려 공민왕 2∼조선 세종 1)]
자는 再父[재보], 호는 冶隱[야은], 金烏山人[금오산인].
고려 말의 三隱[삼은]의 한사람, 李穡[이색], 鄭夢周[정몽주], 權近[권근]의 문하에서 공부.
저서로 冶隱集[야은집] 冶隱續集[야은속집]이 있음.
오백년 도읍지를 匹馬[필마]로 도라드니
山川[산천]은 依舊[의구]하되 人傑[인걸]은 간 듸 업다.
어즈버 太平烟月[태평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한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玉臺體[옥대체] 權德與[권덕여] (0) | 2014.12.23 |
---|---|
秋思[추사] 張籍[장적 : 768-830] (0) | 2014.12.23 |
秋夜[추야] 朴英[박영] (0) | 2014.12.20 |
田家[전가] 范成大[범성대] (0) | 2014.12.20 |
御溝[어구] 崔匡裕[최광유] (0) | 201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