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월당 김시습

贈安生員[증안생원]

돌지둥[宋錫周] 2023. 12. 15. 08:12

贈安生員[증안생원]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안생원에게 주다.

 

余在東都時[여재동도시] : 내가 때마침 동쪽 도시에 있으며

被酒遊街路[피주유가로] : 베픈 술자리 길 가에서 마셨다네. 

冠者從我行[관자종아행] : 갓 쓴자들은 나를 따라서 다녔고

个个有風度[개개유풍도] : 한 명 한 명  풍채와 태도 있었지.

其中安氏子[기중안씨자] : 그 가운데 안 씨라는 사람은

能詩又能賦[능시우능부] : 시에도 능했고 또 부에도 능했네.

相携金鼇峯[상휴금오봉] : 서로 금오산 봉우리로 이끌어

東瞰滄溟闊[동감창명활] : 동쪽의 넓고 큰 바다 굽어보았지.

固知難爲水[고지난위수] : 진실로 물 다스리기 어려움 알아

胸襟何豁達[흉금하활달] : 품은 생각은 어찌나 활달했던가.

夜靜讀離騷[야정독리소] : 고요한 밤에는 이소부를 읽으며

孤忠何慘怛[고충하참단] : 외로운 충성은 어찌나 참단한가.

邇來別數年[이래별수년] : 근래에 헤어진지 몇 년이던가

行業更磨刮[행업갱마괄] : 행업에 더욱 갈고 파헤치게나.

高中司馬試[고중사마시] : 사마 양시에 위엄있게 급제하여

奔走來趨謁[분주래추알] : 바쁘게 달려와 찾아 뵈었었지.

我言明主聖[아언명주성] : 나는 총명한 임금의 존엄 말하니

咎夔登金闕[고기등금궐] : 고와 기는 금빛 대궐에 올랐네.

孜孜復勤鍊[자자부근련] : 부지런히 거듭 힘써 단련하여

挂名金桂籍[괘명금계적] : 금빛 방목에 이름을 걸게나.

他日衣錦還[타일의금환] : 다른 날 비단 옷으로 돌아와

遠追孤雲跡[추원고운적] : 멀리 외로운 구름의 자취 따르게.

 

胸襟[흉금] : 가슴속에 품은 생각.

豁達[활달] : 도량이 넓고 큼, 활발하고 의젓함, 시원스럽게 탁 트임.

離騷[이소] : 楚[초]나라 굴원[굴원]이 지은 賦[부]의 이름. 굴원이 반대파의 참소에 의

   조정에서 쫓겨나 임금을 만날 기회를 잃은 시름을 읊은 서정적 대서사시.

   辭[초사]의 기초가 됨.

孤忠[고충] : 홀로 바치는 외로운 충성. 홀로 다 바치는 충성.

慘怛[참단] : 근심스럽고 괴로움, 마음이 아프고 슬픔.

咎夔[고기] : 요순시대 훌륭한 신하.

   咎[고] : 咎繇[고요] 虞舜[우순]의 신하 皐陶[고요]의 별명, 

   士[사]로서 五刑[오형]을 맡아 바로잡음 書經 舜傳[서경 순전]

   夔[기] : 夔龍[기룡] 음악가, 舜[순]임금이 典樂[전악]으로 임명

   舜[순]과 禹[우]와 皐陶[고요]가 君臣[군신]간에 서로 화합하여

   좋은 말을 주고받은 가운데서 나온 말이고,

    夔龍[기룡]은 舜[순] 임금의 두 賢臣[현신]으로,

   기는 樂官[악관]이었고, 용은 諫官[간관]이었으므로,

   전하여 明君賢臣[명군현신]이 서로 화합하여

   禮樂文物[예악문물]이 성대해진 것을 의미한다.

桂籍[계적] :  科[문과] 目[방목]을 이르는 말.

錦還[금환] : 錦衣還鄕[금의환향]의 준말.

梅月堂詩集卷之六[매월당시집6권] 詩[시] 投贈[투증]

金時習[김시습,1435-1493] : 자는 悦卿[열경].   

  호는 梅月堂[매월당], 東峰[동봉], 碧山淸隠[벽산청은], 贅世翁[췌세옹]

  단종이 세조에게 양위할 때 크게 충격을 받아 실의하여

  머리를 삭발하고 중이 되어 山水間에 방랑하며 절의를 지킴. 

  生六臣의 한 사람. 조선초기의 문인 (소설가).

 

'매월당 김시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贈高同知[증고동지]  (3) 2024.01.09
上四佳亭[상사가정]  (1) 2023.12.21
石耳[석이]  (1) 2023.12.11
松菌[송균]  (1) 2023.12.08
松蕈[송심]  (2) 202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