贈上京夫子[증상경부자] 三宜堂 金氏[삼의당 김씨]
서울로 올라 가시는 낭군님께 드립니다.
廾七佳人廾七郞[공칠가인공칠랑] : 스물일곱 아름다운 여자와 스물일곱 신랑
幾年長事別離場[기년장사별리장] : 몇 년이나 걸린 긴 이별에 시험장으로 떠나네.
今春又向長安去[금춘우양장안거] : 금년 봄 또 한양을 향해 가셔야 하니
雙鬂猶添淚兩行[쌍빈유첨루양행] : 두 빰엔 가히 두줄기 눈물이 넘쳐 흐르네.
志士當年不顧家[지사당년불고가] : 뜻있는 선비는 마땅히 해마다 집안을 돌보지 않고
席門多有建高牙[석문다유건고아] : 거적문에도 높고 위대하게 된 인재 많아라.
臨分誦道前人事[임분송도전인사] : 헤어짐에 인사에 앞서 도리를 여쭈오니
晝錦何時鄕里夸[주금하시향리과] : 금의환향 언제 하여 고향 마을 빛내실까?
老馬終宵齕荳萁[노마종소흘두기] : 늙은 말은 밤새 콩과 콩깍지 깨물기를 마쳣는데
行人將發故遲遲[행인장발고지지] : 장차 떠날 사람 행장은 왜 이리도 더딘가.
搴裳小婢來廚下[건상소비래주하] : 치마 걷어올린 여종은 부엌에서 돌아와
爲報黃梁已曉炊[위보황량이효취] : 이미 새벽에 불때 기장밥 지었다고 알려오네.
鴛鴦枕畔鷄聲早[원앙침반계성조] : 원앙 베개는 어그러져 새벽닭 일찍 우니
遠客行裝千里道[원객행장천리도] : 천리 먼 길 떠나실 낭군의 행장을 차리고 있네.
老僕開門步征馬[노복개문보정마] : 늙은 머슴 문 열고 먼길 가는 말 뒤따르며
石鐺獻火燃南草[석당헌화연남초] : 부싯돌로 불을 올려 잎담배에 불을 붙이네.
春事家家桃始華[춘사가가도시화] : 집집마다 복숭아 꽃 화려하게 시작하는 봄 경치에
淸晨早起捲窓紗[청신조기권창사] : 맑은 새벽 일찍 일어나 창문의 비단을 말아 거두네.
千里長安相送去[천리장안양송거] : 멀리 떨어진 한양으로 감에 빌면서 배웅하니
溪山朝日散餘霧[계산조일산여무] : 텅 빈 산의 아침 햇살에 짙은 안개 흩어지네요.
白竹扉前遠送客[백죽비전원송객] : 께끗한 대쪽 사립문 앞에서 서방님 멀리 보내는데
東風征馬踏朝雲[동풍정마답조운] : 봄바람에 멀리 떠나는 말은 아침의 구름을 밟는구나.
臨行不可無相贈[임행불가무양증] : 떠남에 임하여 기원의 선물이 없음은 옳지 않으니
遵彼蘭畦拾晩芬[준피난휴습만분] : 저쪽 밭두둑 난초의 쇠한 향기라도 거두어 공경하리.
歸路迢迢草吐芽[귀로초초초토아] : 돌아갈 길 멀고도 먼데 잡초들 싹을 틔워 드러나고
東風送客一天涯[동풍송객일천애] : 봄 바람에 서방님을 아득히 먼 타향으로 보내야하네.
摻子之手執歸袂[섬자지수집귀몌] : 당신의 가냘픈 손을 잡고 소매에 의지하니
莫念閨中朝露花[막념규중조노화] : 규중의 아침 이슬같은 꽃(나)은 생각하지 마세요.
城東門外雨初晴[성동문외우초청] : 성의 동쪽 문 밖에 내리던 비는 개이고
芳草堤頭白馬鳴[방초제두백마명] : 꽃다운 풀이 있는 방죽 근처에 흰 말이 우는구나.
愧我十年長是別[괴아십년장시별] : 나의 십년 동안의 기나긴 이별이 부끄럽지만
嗟君千里爲誰行[차군천리위수행] : 당신의 천리 길은 누굴 위한 것인지 탄식하네요.
須看世上奇男事[수간세상기남사] : 모름지기 세상에 재주가 뛰어난 남자의 재능을 보면
肯作人間匹婦情[긍작인간필부정] : 그런 사람은 배우자 아내의 진심을 수긍하였답니다.
有志終軍終建節[유지종군종건절] : 뜻을 품고 진을쳐 관찰사로 뽑혀 생을 다하면
史編所以裁芳名[사편소이재방명] : 역사책 한곳에 명예로운 이름 실리겠지요.
楊柳千絲拂地輕[양류천사불지경] : 버들가지는 천가닥 실처럼 땅을 가볍게 스치고
錦蠻黃鳥兩三聲[금만황조양삼성] : 매우 아름다운 꾀꼬리 두세 마리 지저귀네.
今年又作昔年別[금년우작석년별] : 금년에도 또 작년처럼 이별을 하게 되니
何日將回此日行[하일장회차일행] : 어느 날에 어찌 오시려고 이날 가시나요?
吾所贈言皆血悃[오소증언개혈곤] : 제가 지금 드리는 말씀은 다 피같이 간곡하오니
子如怠業豈人情[자여태업기인정] : 당신이 학업을 게을리 하시면 어찌 인정 있다 하오리까?
古之格語能知否[고지격어능지부] : 옛날의 격언을 능히 잘 아실터
有志者皆事竟成[유지자개사경성] : 뜻이 있는 자 모든 일을 마침내 성취한다는 것을.
'한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春思[춘사] 李梅窓[이매창] (0) | 2015.01.19 |
---|---|
自恨[자한] 李梅窓[이매창] (0) | 2015.01.19 |
禮成夜記話[예성야기화] 三宜堂 金氏[삼의당 김씨] (0) | 2015.01.19 |
春景[춘경] 金三宜堂[김삼의당] (0) | 2015.01.19 |
早起梳頭效東坡[조기소두효동파] 李仁老[이인로] (0) | 201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