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雪峯作[백설봉작] 南柯子[남가자] 霽月堂 宋奎濂[제월당 송규렴]
백설봉에 이르러 南柯子[남가자] : 남쪽 가지, 당나라때 敎坊曲[교방곡].
照岸沙光白[조안사광백] : 언덕 비치는 모래 빛은 밝은데
明霞日脚紅[명하일각홍] : 밝은 노을에 뻗친 햇살 붉구나.
遙看碧海侵長空[요간벽해침장공] : 멀리 보이는 푸른 바다 긴 하늘을 범하고
指點仙山何處杳茫中[지점신산하처묘망중] : 신선의 산을 점찍어 가리키려니
어느 곳인지 아득히 멀구나.
湖納三更月[호납삼경월] : 호수에서 즐기는 삼경의 달빛
臺迎萬里風[대영만리풍] : 대에서는 만리의 경치를 맞이하네.
怳疑身在廣寒宮[황의신재광한궁] : 잠시 몸이 달의 궁에 있는 듯 한데
直欲飄然騎鶴入鴻濛]직욕표연기학입홍몽] :
곧장 표연히 학을 타고 자연의 원기 속에 들고 싶구나.
白雪峯[백설봉] : 앞의 시 鶴湖作[확호작] 幷序[병서]에 보이는 모래 언덕.
南柯子[남가자] : 남쪽 가지, 당나라 때 敎坊曲[교방곡], 詩體[시체]의 하나로, 흔히 고국이나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할 때 쓰는 말.
日脚[일각] : 햇 발, 사방으로 뻗친 햇살.
廣寒宮[광한궁] : 달 가운데 있다는 宮殿[궁전]. 月宮殿[월궁전].
언제나 시원하여 ‘광한궁'이라 이름 붙였다 함.
飄然[표연] : 바람에 가볍게 나부끼는 모양, 훌쩍 나타나거나 떠나가는 모양.
鴻濛[홍몽] : 하늘과 땅이 아직 갈리지 않은 모양, 천지 자연의 원기, 우주가 형성되기 이전부터 있어 온 천지의 원기.
霽月堂先生集卷之二[제월당선생집2권] 詩[시] 1819 간행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94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3667 한국문집총간 137.
'霽月堂 宋奎濂' 카테고리의 다른 글
碧螺島作[벽라도작] 憶秦娥[억진아] (0) | 2019.01.11 |
---|---|
元帥臺作[원수대작] 臨江仙[임강선] (0) | 2019.01.11 |
翠屛岡作[취병강작] 浣溪沙[완계사], (0) | 2019.01.08 |
鶴湖作 (0) | 2019.01.02 |
龍興江[용흥강] (0) | 2019.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