寄題朴尙書退憂亭[기제박상서퇴우정]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박상서의 퇴우정에 써서 부치다.
笑尒希文甫[소이희문보] : 우스구나 그 희문보는
多憂少樂時[다우소락시] : 근심은 많고 즐거운 시기는 적었네.
何如東野老[하여동야로] : 동쪽 교외의 늙은이는 어떠한가
憂樂兩忘之[우락량망지] : 근심과 즐거움 둘 다 잊었다네.
希文[희문] : 宋[송] 나라 때의 賢相[현상] 范仲淹[범중엄 : 989-1052]의 자.
시호는 文正[문정]. 사대부의 모범적 인물로 꼽히며
북송 때의 정치가, 문학가, 교육가이며, 쑤저우 저정 성 오현 사람.
그가 쓴 (岳陽樓記[악양루기]가 유명하다.
先天下之憂而憂 (공직자는) 천하(백성)의 근심(먹거리)을 먼저한 후에 (개인의) 근심을,
後天下之樂而樂 백성들이 다 즐거움을 이룬 이후에 자신의 즐거움을, 구해야 한다.
東野[동야] : 蘇軾[소식] 東坡[동파]의 薄薄酒詩[박박주시]에
不如眼前一醉[불여안전일취] : 당장에 술 불러 한번 취하여,
是非憂樂兩都忘[시비우락량도망] : 시비와 우락을 둘 다 잊는 것만 못하리.를 인용
白沙先生集卷之一[백사선생집1권] 詩[시] 1629년 간행본 인용
한국고전번역원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1991 이항복[1556-1618].
'李恒福'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盈德。再用前韻。演成兩句。又次以謝 (0) | 2021.02.15 |
---|---|
舊歲將盡 李盈德寄詩相問 次韻却寄 (0) | 2021.02.11 |
夜坐有感[야좌유감] (0) | 2021.01.29 |
偶題盤石[우제반석] (0) | 2021.01.23 |
星男陷在逆獄[성남함재역옥]父無獨生之理[부무독생지리] (0) | 2021.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