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景任貽書相問[정경임이서상문] 2

鄭景任貽書相問[정경임이서상문]

鄭景任貽書相問[정경임이서상문]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정경임이 편지를 전하며 서로 묻다. 退以耕於野[퇴이경어야] : 물러나 들판 의지해 농사를 지으며 歸歟舍則藏[귀어사즉장] : 돌아가 곧 나를 버리고 숨어살리오. 行裝九節杖[행장구절장] : 행장은 아홉 마디의 지팡이 하나요 契分一匡床[계분일광상] : 두터운 정은 반듯한 평상 하나라네. 愍老虞翻棄[민로우번기] : 늙어서 근심함 우번의 버려짐이요 憂讒屈子傷[우참굴자상] : 참소를 걱정함 굴자의 상심이로다. 平生鄭景任[평생정경임] : 삶을 사는 내내 경임 정경세만이 書蹟問荒涼[서적문황량] : 편지로 살펴 황량함을 위문해주네. 景任[경임] : 鄭經世[정경세, 1563-1633]의 자, 호는 愚伏[우복]. 예조판서, 이조판서, 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李恒福 2024.02.01

鄭景任貽書相問[정경임이서상문]

鄭景任貽書相問[정경임이서상문]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정경임이 편지를 전하여 위문하다. 退以耕於野[퇴이경어야] : 물러나 들에 있는 밭을 갈고 歸歟舍則藏[귀어사즉장] : 돌아가면 곧 집에 숨네. 行裝九節杖[행장구절장] : 행장은 아홉 마디 지팡이 契分一匡床[계분일광상] : 편안한 상 하나에 친한 정분. 愍老虞翻棄[민로우번기] : 늙어서도 걱정한 우번을 버리고 憂讒屈子傷[우참굴자상] : 참소의 고통에 굴자는 근심했네. 平生鄭景任[평생정경임] : 평생에 경임 정경세만이 書蹟問荒凉[서적문황량] : 편지로 살펴 쓸쓸함을 위문하네. 景任[경임] : 鄭經世[정경세 : 1563-1633]의 자, 본관은 晉州[진주], 호는 愚伏[우복]. 예조판서, 이조판서, 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저서에 愚伏集[우복집]..

李恒福 2020.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