康節[강절] 2

丁巳八月日詠懷[정사팔월일영회]

丁巳八月日詠懷[정사팔월일영회]  宋時烈[송시열]정사(1677년) 8월 낮의 회포를 읊다.  蠻土休言歲月長[만토휴언세월장] : 남쪽 지방의 세월이 길다고 말하지 마라 安身何處不吾鄕[안신하처불오향] : 몸이 편하면 어느곳인들 내 고향 아닐까. 風吹木葉根猶靜[풍취목엽근유정] : 바람 부는 나뭇잎 오히려 뿌리 고요하고 霜折蘭枝意自香[상절난지의자향] : 서리에 꺾인 난초 가지 뜻 절로 향기롭네. 多謝晦翁提我耳[다사회옹제아이] : 회옹이 나를 성히 이끄니 깊이 감사하고 須知康節刮人眶[수지강절괄인광] : 마땅히 강절 남의 눈 닦아줌도 알아야지. 箇中密切工夫在[개중밀절공부재] : 이 가운데 은밀하고 간절한 공부 있으니 鄒聖當年戒助忘[추성당년계조망] : 맹자도 당시 도움과 돌보지 않음 경계했네. 蠻土[만토] : 옛날 남..

송시열 2024.11.07

無題[무제]

無題[무제] 南冥 曺植[남명 조식] 무제. 一絲無補聖明朝[일사무보성명조] : 한 올의 도움 없어도 조정 임금의 지혜 밝은데 兩鬢徒看長二毛[양빈도간장이모] : 두 살쩍을 홀로 바라보니 검은털 흰 털 길구나. 自識淮陰非國士[자식회음비국사] : 스스로 안다는 회음후는 나라의 선비 아니었고 由來康節是人豪[유래강절시인호] : 소강절의 내력은 무릇 기량이 뛰어난 인사였지. 時方多難容安枕[시방다난용안침] : 지금은 어려운 일 많은데 어찌 편안히 잠드나 事已無能欲善刀[사이무능욕선도] : 벼슬에는 이미 능력이 없어 칼이나 닦으려 하네. 越水東頭尋舊隱[월수동두심구은] : 동쪽 머리 강물 넘어 옛날 은거하던 곳 찾으니 白雲茅屋數峯高[백운모옥수봉고] : 흰 구름과 띠풀 집에 두 서너 봉우리 뛰어나구나. 聖明[성명] : 임금의..

曺植 2024.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