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율시(律詩)에 대하여....
예) 白馬江(조선시대 작가미상의 작품)
百 年 文 物 摠 成 邱 (백년문물총성구) 아! 백제의 문화 문물 이곳 터에 흥했는데
歌 舞 煙 沈 杜 宇 愁 (가무연침두우수) 춤과 노래 사라지고 두견새 구슿프구나.
投 馬 有 臺 雲 寂 寂 (투마유대운적적) 군마 투신한 누대에는 구름만이 한가하고
落 花 無 跡 水 悠 悠 (낙화무적수유유) 낙화궁녀 자취 없이 강물만 유유히 흘러가네
孤 舟 白 髮 傷 時 淚 (고주백발상시루) 외척 배에 늙은사공 옛 생각에 눈물짖고
一 笛 靑 山 故 國 秋 (일적청산고국추) 청산에 피리소리 망국의 슬픔을 자아낸다
欲 弔 魂 忠 何 處 是 (욕조혼충하처시) 충혼 서린 넋들은 어느 곳에 머무는가?
令 人 長 憶 五 湖 州 (영인장억오호주) 나로 하여금 백마강의 추억에 잠기게 한다.
예) 빨강=평성(平聲), 파랑=측성(仄聲), 녹색=운자(韻字)
율시(律詩)는 백마강의 시(詩)에서 보는바와 같이 8구로 이루어져야 하고 제1,2구를 묶어서 기련(起聯), 제 3,4구를 전련(前聯), 제 5,6구를 후련(後聯), 제 7,8구를 결련(結聯)이라 하는데 제 3,4구와 제 5,6구는 반드시 대구(對句)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 짝수 구(句)에는 운(韻)이 필수이며 제1구 말의 운(韻)은 꼭 필수라고 할 수는 없지만 정격에서는 따집니다.
이 시(詩)에서의 운(韻)은 구,수,유,추,주 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 1구에서는 백제의 도읍 이곳 부여의 찬란했던 문화를 드러내고 제 2구에서는 과거의 화려했던 영화와 현재의 고요한 정적을 슬프하는 것으로 기련(起聯)이 시작됩니다.
제3구의 投馬有臺雲寂寂 과 제4구의 落花無跡水悠悠의 대구는 가히 절묘한 구절이라 할수 있습니다. 백제가 몰락할때 "군사들이 말과 함께 떨어져 죽은 강가의 누대는 그대로 인데 다만 지금은 구름만이 무심하게 한가하다" 와 "낙화암의 궁녀들이 다투어 투신했던 이곳은 흔적조차 없고 다만 강물만 유유히 흐른다" 로 投馬와 落花, 有臺와 無跡, 雲寂寂, 水悠悠로 대구하고 있습니다.
또 제5구의孤舟白髮傷時淚 와 제6구의 一笛靑山故國秋의 대구도 가히 쌍벽입니다. "외척 배의 늙은 사공 옛 생각에 가슴아픈 눈물" 과 "청산의 한가락 애절한 피리소리는 고국의 영화를 그리게 한다" 의 孤舟와 一笛, 白髮과 靑山으로 대구하고 있습니다.
결련(結聯)에서 "충성스런 혼백들을 조문하고자 하나 그 곳 조차 알 수 없어 나로 하여금 백마강의 옛 추억에 오래도록 잠기게 한다" 라고 지금의 쓸쓸한 심정을 대변하면서 작자의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한시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斗尾十詠[두미십영] 李珥[이이] (0) | 2015.02.25 |
---|---|
斷腸人[단장인] 桂月香[계월향] (0) | 2015.01.28 |
해석요청건 (0) | 2015.01.12 |
이우식님의 번역 본 (0) | 2015.01.09 |
七言節句 (0) | 201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