郊園[교원] 金履坤[김이곤]
교외의 동산.
郊園多暇日[교원다가일] : 교외의 동산에는 한가한 날도 많아
坐卧一樓閑[좌와일루한] : 앉았다 누웠다 누각은 잠시 한가하네.
岳色隨時改[악색수시개] : 큰 산 빛은 계절을 따르면서 바뀌고
牛歌幾處還[우가기처환] : 소뿔 치는 노래 몇 곳에서 돌아올까.
春陰浮野草[춘음부야초] : 봄 그늘에 들판의 잡초들 넘쳐나고
水氣帶荊關[수기대형관] : 강물 기운 가시나무 관문에 두르네.
桃李催相發[도리최상발] : 복숭아 오얏 서로 피는걸 재촉하니
霏微雨滿山[비미우만산] : 부슬 부슬 산에 가득히 비가내리네.
牛歌[우가] : 춘추 시대 衛[위]나라 사람 甯戚[영척]과 관련된 얘기.
영척이 어느날 제나라 임금 '환공'의 행차를 바라보던 중
그에게 등용되기를 바라는 희망을 품고 소 뿔을 두드리며 노래를 불렀다.
鳳麓集卷之一[봉록집1권] 詩[시]
金履坤[김이곤, 1712-1774] : 자는 厚哉[후재], 호는 鳳麓[봉록]
영조 때의 문신, 학자. 동궁시직, 신계현령 역임.
1762년(영조 38) 사도세자가 화를 입자 궐내로 달려가 통곡한 죄로 파직되었다.
시가 ·독서로 소일하다가, 1774년 신계현령이 제수되었다.
시가에서 독특한 체를 이룩하였는데, 그것을 봉록체라고 한다.
'한시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晩春田園雜興[만춘전원잡흥] 2 (0) | 2024.07.06 |
---|---|
次韓錫甫[차한석보] (0) | 2024.07.03 |
春夜會飮[춘야회음] (0) | 2024.06.24 |
禪房燕子[선방연자] (0) | 2024.06.21 |
嘆花[탄화] (0) | 202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