次杜示李宜菴[차두시이의암]6-5 朴齊家[박제가]
두보를 차운하여 이의암에게 보이다. 6수-5
閱盡人情且自寬[열진인정차자관] : 사람의 정 모두 살피니 또한 스스로 너그럽고
肎隨濃淡作悲歡[긍수농담작비환] : 짙고 옅음 즐겨 따르며 슬픔과 기쁨을 만드네.
田如宿債思焚券[전여숙채사분권] : 봉토에 따르는 묵은 빛에 증서 태울 생각하며
身是迂儒可溺冠[신시우유가뇨관] : 몸은 무릇 어두운 선비라 가히 갓에 오줌 누네.
風雨紛披爲薄暮[풍우분피위박모] : 비 바람에 꽃 만발하니 야박하게 저물게 되고
江山渲染入初寒[강산선염입초한] : 강물과 산은 점점 물들어 첫 추위가 들어오네.
年年百里乘潮客[연년백리승조객] : 해마다 일백 리의 밀물을 업신여기는 나그네
檞葉村中打稻看[해엽촌중타도간] : 마을 가운데 떡갈나무 잎에 벼 타작 바라보네.
宿債[숙채] : 오래 묵은 빛.
迂儒[우유] : 세상 물정에 어두운 선비,
세상 돌아가는 형편에 어두운 선비.
溺冠[요관] : 관에 오줌을 눔, 한 고조 유방이
儒士[유사]를 업신여기며 모욕을 가한 고사.
紛披[분피] : 꽃이 만발함, 흩어져 어지러움.
薄暮[박모] : 해가 진 뒤로 껌껌하기 전까지의
어둑어둑하여 지는 어둠, 땅거미, 황혼.
渲染[선염] : 화면에 물을 칠하여 마르기 전에 붓을 대어
朦朧[몽롱]하고 沈重[침중]한 妙味[묘미]를 나타내는 기법
貞蕤閣初集[정유각초집] 詩[시]
朴齊家[박제가 1750- 1805] : 자는 次修[차수]·在先[재선]·修其[수기],
호는 楚亭[초정]·貞蕤[정유]·葦杭道人[위항도인]
조선 후기 국가경제체제의 재건을 논했던 북학파의 일원.
공리공담을 일삼던 주자학적 사상계와 풍수도참설에 비판적이었다.
'박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觀穫[관학] (0) | 2024.04.10 |
---|---|
次杜示李宜菴[차두시이의암]6-6 (0) | 2024.04.01 |
次杜示李宜菴[차두시이의암]6-4 (0) | 2024.03.20 |
次杜示李宜菴[차두시이의암]6-3 (4) | 2024.03.15 |
次杜示李宜菴[차두시이의암]6-2 (0) | 2024.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