左遷至藍關示姪孫湘[좌천지남관시질손상] 韓愈[한유]
좌천되어 남관에 이르러 조카 아들 상에게 보이다.
一封朝秦九重天[일봉조진구중천] : 아침에 한 통의 상소문 임금에게 올렸다가
夕貶潮州路八千[석폄조주로팔천] : 저녁에는 조주의 팔천 리 길로 떨어지노라.
欲爲聖明除弊事[욕위성명제폐사] : 성군을 위하여 폐단을 밝혀 없애려하다가
肯將衰朽惜殘年[긍장쇠후석잔년] : 늙은 몸 이끌고 남은 목숨 살아야 된다네.
雲橫秦嶺家何在[운횡진령가하재] : 구름은 진나라 고개 비끼니 내 집은 어딜까
雪擁藍關馬不前[설옹남관마부전] : 눈 덮인 남관에 말도 앞으로 나가지 못하네.
知汝遠來應有意[지여원래응유의] : 네가 먼 곳까지 따라 온 뜻이 있음을 아나니
好收我骨瘴江邊[호수아골장강변] : 나의 뼈를 거두어 장강 가에 묻었으면 하노라.
韓愈[한유 : 768-824]가 당 憲宗[헌종]이 부처 사리를 궁중으로 맞으려 하자
刑部侍郞[형부시랑]이던 한유는 이를 극력 반대하는 論佛骨表文[논불골표문]을 올린다.
불교 신봉이 국운과 제왕의 수명에까지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역사적 사례까지 들어 반박했는데 이는 유가의 맹주다운 용기였지만
황실의 뿌리 깊은 崇佛[숭불] 전통을 무시한 결과는 참담했지요.
황제는 그날로 그를 ‘남쪽 오랑캐 땅’이라 천시되던
광둥 지역 潮州刺史[조주자사]로 내쳤습니다.
그나마 사형이 내려졌다가 좌천으로 감형된 것이 다행이라면 다행이었네요.
전하는 말에 의하면 시인이 藍關[남관]을 지나다가 큰 눈을 만나
길을 잃고 진퇴양난에 빠졌습니다.
추위와 굶주림으로 죽음에 직면해 있을 때 홀연히 질손 韓湘[한상]이 나타나
시인이 탄 말의 고삐를 잡고 길을 안내하여 남관 역참까지 무사히 도착한 후
이 시를 보여주며 이별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양만리,소식,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眼兒媚[안아미] (0) | 2022.03.05 |
---|---|
山園小梅 (0) | 2022.02.27 |
淸夜吟[청야음] (0) | 2022.02.02 |
山村咏懷[산촌영회] (0) | 2022.01.28 |
和子由澠池懷舊[화자유민지회구] (0) | 2021.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