奉寄關西使相柳川韓令公行軒[봉기관서사상유천한령공행헌]
漢陰 李德馨[한음 이덕형]
관서의 사신 상공 유천한 영감의 행차소에 받들어 부치다.
其一
南徼同巡已杳然[남요동순이묘연] : 남쪽 돌며 함께 순행하니 너무 소식도 모르고
別筵三度又西邊[별연삼도우서변] : 이별의 연회 세 번 넘으니 다시 서쪽 변방이네.
暮年聚散唯憑夢[모년취산유빙몽] : 늘그막에 모였다 흩어지니 오직 꿈에 의지하고
浮世行藏各任天[부세행장각임천] : 덧 업는 세상 나가고 숨음 각각 하늘에 맡기네.
草屋念懸龍瀨月[초옥념현룡뢰월] : 초가집을 생각하니 용 여울의 달빛은 헛되고
板輿榮動浿江舡[판여영동패강선] : 나무 수레 영예롭게 패강의 배에서 흔들리네.
東皐醉話君應記[동고취화군응기] : 동쪽 언덕에서 취해 한 말 현자 응당 기억하며
遠札須兼逸翮傳[원찰수겸일핵전] : 심오한 편지 마침내 겸하여 편안한 깃촉 전하네.
杳然[묘연] : 소식이 없어 행방을 알 수 없음,
그윽하고 멀어 눈에 아물아물함, 오래 되어 기억이 흐릿함.
行藏[행장] : 나서서 일을 실천함과 들어가 숨는 것.
板輿[판여] : 노인의 보행을 대신하는 들것과 같은 부들 방석을 깐 노인용 기구로
부모를 맞이하여 봉양하는것을 말한다. 주로 지방관이 모시고 있는 늙은 부모.
漢陰先生文稿卷之二[한음선생문고2]詩[시]七言律[7언률]
李德馨[이덕형 : 1561-1613]
'한음 이덕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次婦翁韻[차부옹운]贈松雲[증송운] (0) | 2024.03.29 |
---|---|
奉寄關西使相柳川韓令公行軒[봉기관서사상유천한령공행헌] (0) | 2024.03.25 |
憶故寫懷[억고사회] (0) | 2024.03.15 |
挽宗契李兵使[만종계이병사] (2) | 2024.02.28 |
暮過永平[모과영평] (0) | 2024.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