夜入麝泉[야입사천]
與靑莊李子劇飮達宵[여청장이자극음달소]
曉大雪[효대설] 二首[2수]-1
朴齊家[박제가]
밤에 사천에 들어
청장 이덕무와 함께 밤을 새워 지나치게 마시니
새벽에 큰 눈이 왔다.
城裏迢迢屋後峰[성리요요옥후봉] : 성 가운데 집 뒤의 봉우리 멀고 높은데
鳳凰千仞祕高蹤[봉황천인비고중] : 봉황이 천 길의 고상한 자취를 숨겼구나.
群烟下界痕俱合[군연하계흔구합] : 많은 안개 내려온 세계 자취 함께 모이고
獨月中天態逾濃[독월중천태유농] : 하늘 속의 외로운 달 더욱 짙은 모습이네.
年少猶爲婪尾觶[연소유위람미치] : 나이 젊으니 오히려 고운 잔 탐하게 되고
歲寒長對後凋松[세한장대후조송] : 세한엔 항상 늦게 시드는 소나무 마주하네.
與君一夕眞難得[여군일석진난득] : 그대와 함께 하루 저녁 참으로 얻기 어렵고
落魄平生我孰容[낙백평생아숙용] : 평생토록 넋을 잃은 나의 모습이 익숙하구나.
高蹤[고종] : 고상한 행동거지.
歲寒[세한] : 설 전후의 추위, 매우 심한 한겨울의 추위.
貞蕤閣初集[정유각초집] 詩[시]
朴齊家[박제가 1750- 1805] : 자는 次修[차수]·在先[재선]·修其[수기],
호는 楚亭[초정]·貞蕤[정유]·葦杭道人[위항도인]
조선 후기 국가경제체제의 재건을 논했던 북학파의 일원.
공리공담을 일삼던 주자학적 사상계와 풍수도참설에 비판적이었다.
'박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椉月訪所謂亭[승월방소위정] 1 (0) | 2024.05.13 |
---|---|
夜入麝泉[야입사천] 2-2 (0) | 2024.05.08 |
題畫[제화] (2) | 2024.05.01 |
暮到麝泉[모도사천] 三首[3수]-3 (0) | 2024.04.25 |
暮到麝泉[모도사천] 三首[3수]-2 (0) | 2024.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