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봄

偶成[우성]

돌지둥[宋錫周] 2023. 8. 6. 18:29

偶成[우성]   李瀷[이익]

우연히 이루다.

 

明時身賤混輿臺[명시신천혼여대] : 평화로운 세상 몸은 천해 미천한 사람과 섞여도  
老圃爲名亦樂哉[노포위명역락재] : 농사 잘 짓는 농부로 이름 이루니 또한 즐겁네.  
斲草庭中今日病[착호정중금일병] : 뜰 가운데 잡초를 깎고 나니 오늘은 피로한데  
移花眼底幾時開[이화안지기시개] : 어린 싹 안정시켜 옮긴 꽃은 언제나 피려는가.  
栽培在手宜輸力[재배재수의수력] : 재배함은 손에 달렸으니 힘 쏟아야 마땅하고 
經畫留心且試才[경화류심차시재] : 경영 꾀함 마음에 두고 또 재주를 시험한다네.  
農子恒農眞永業[농자항농지영업] : 농부 아들은 항상 농사짓는 게 참된 본업이니  
一廛生理孰嫌猜[일전생리숙혐시] : 하나의 터에 사는 이치를 누가 싫어 미워할까. 

 

明時[명시] : 평화로운 세상.

輿臺[여대] : 지위가 낮은 사람, 賤役[천역]에 종사하는 사람.

老圃[노포] : 농사를 잘 짓는 농부, 농사일에 경험이 많은 사람.

栽培[재배] : 식용이나 약용, 관상용 식물을 심어 기름.

一廛[일전] : 廛[전]은 집터를 말하고, ‘일전의 생활’이란 평민의 삶을 의미한다.

   《맹자》 滕文公 上[등문공 상] "願受一廛而爲氓[원수일전이위맹] :

   하나의 전을 받아서 백성이 되고자 합니다.' 한 데서 온 말이다.

 

星湖先生全集卷之二[성호선생전집2권] 詩[시]

李瀷[이익, 1681-1763] : 자는 子新[자신], 호는 星湖[성호]

  조선 후기의 실학을 집대성한 실학자.

  남인 집안 출신으로 아버지의 유배지에서 태어나

  세상에 도움이 되는 학문에만 주력했으며,

  그의 사상은 정약용을 비롯한 후대 실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한시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李我石邀飮共賦[이아석요음공부]  (0) 2023.08.08
小酌[소작]  (0) 2023.08.08
題都城南莊[제도성남장]  (0) 2023.08.04
暮春登山[모춘등산]  (0) 2023.08.02
弼雲臺看杏花[필운대간행화]  (0) 2023.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