寄題宋福汝挹灝亭[기제송복여읍호정] 二首-2 寄題宋福汝挹灝亭[기제송복여읍호정] 二首-2 松潭 宋柟壽[송담 송남수] 송 복여의 읍호정에 적어 부치다. 其二 幽人初罷南柯夢[유인초파남가몽] : 그윽한 사람이 비로소 그만두는 남쪽 가지의 꿈 旋向名區縛數楹[선향명구박수영] : 이름난 곳 빠르게 나아가 몇간 기둥을 얽었구나... 송담 송남수 2017.03.10
寄題宋福汝挹灝亭[기제송복여읍호정] 二首-1 寄題宋福汝挹灝亭[기제송복여읍호정] 二首 松潭 宋柟壽[송담 송남수] 송 복여의 읍호정에 적어 부치다. 其一 物外棲成俗事稀[물외서성속사희] : 세상 물정 밖에 갖추어 살게되니 속된 일은 드물고 靑衫換了綠蘿衣[청삼환료록사의] : 푸른 적삼 마침내 바꾸니 은자의 옷 검고 아름.. 송담 송남수 2017.03.10
雪後[설후]步尋宋福汝[보심송복여]路上口占[노상구점] 雪後[설후]步尋宋福汝[보심송복여]路上口占[노상구점] 松潭 宋柟壽[송담 송남수] 눈내린 뒤에 걸어서 송 복여를 찾아가다 노상에서 즉시 짓다. 強起踈慵策杖行[강기소용책장행] : 거칠고 게을러 억지로 일어나 지팡이 의지해 가노라니 雪晴墟里夕陽明[설청허리석양명] : .. 송담 송남수 2017.03.09
寄題三嘉宋德馨新堂次韻[기제삼가송덕형신당차운] 寄題三嘉宋德馨新堂次韻[기제삼가송덕형신당차운] 松潭 宋柟壽[송담 송남수] 삼가현의 송 덕형 새 집의 운을 차하여 적어 부치다. 棲成物外斷經營[서성물와단경영] : 세상 물정 밖에 다스려 살면서 한결 같게 경영하며 閑伴筠梅作弟兄[한반균매작제형] : 대나무 매화를 한가히 짝하.. 송담 송남수 2017.03.08
錦江樓船[금강루선] 二首 2-2 錦江樓船[금강루선]與慶廵察暹[여경순찰섬]洪牧使思斅[홍목사사효] 鄭安城惟醇[정안성유슌]池察訪達海[지찰방달해]石陽正做會[석양정주회] 二首 松潭 宋柟壽[송담 송남수] 금강의 누선에서 순찰사 경섬, 목사 홍사효, 안성 정유순, 찰방 지달해, 석양정과 더불어 모여 짖다. .. 송담 송남수 2017.03.08
錦江樓船[금강루선] 二首 2-1 錦江樓船[금강루선]與慶廵察暹[여경순찰섬]洪牧使思斅[홍목사사효] 鄭安城惟醇[정안성유슌]池察訪達海[지찰방달해]石陽正做會[석양정주회] 二首 2-1 松潭 宋柟壽[송담 송남수] 금강의 누선에서 순찰사 경섬, 목사 홍사효, 안성 정유순, 찰방 지달해, 석양정과 더불어 모여 짖.. 송담 송남수 2017.03.08
重遊鷄龍山[중유계룡산] 二首-2 重遊鷄龍山[중유계룡산] 二首-2 松潭 宋柟壽[송담 송남수] 또다시 계룡산을 유람하다. 其二 天邊螺黛亂山稠[천변라대란산조] : 하늘 가 검푸른 고동처럼 산은 빽빽히 어지럽고 山外靑羅錦水流[산외청라금수류] : 산 밖으로 푸르게 늘어서 아름다운 강물 흐르네. 澗月溪風挑晩興[간월.. 송담 송남수 2017.03.07
重遊鷄龍山[중유계룡산] 二首-1 重遊鷄龍山[중유계룡산] 二首-1 松潭 宋柟壽[송담 송남수] 또다시 계룡산을 유람하다. 其一 一杖行尋舊洞天[일장행심구동천] : 지팡이 하나로 찾아가 보는 옛 신선의 골짜기 白雲紅樹尙依然[백운홍수상의연] : 흰 구름과 붉은 나무는 아직도 전과 다름 없네. 吟情浩蕩風兼月[음정호탕.. 송담 송남수 2017.03.07
漫題[만제] 漫題[만제] 松潭 宋柟壽[송담 송남수] 멋대로 적다. 多年猿鳥日相親[다년원조일상친] : 여러 해를 원숭이 새들과 서로 날마다 친해지니 丘壑閑情老轉新[구학한정로전신] : 언덕과 골짜기 한가한 정 늙어도 새롭게 깨닫네. 塵土幾傷迷路客[진토기상미로객] : 티끌과 흙에서 얼마나 근심.. 송담 송남수 2017.03.07
山人一見[산인일현] 三首- 3 山人一見[산인일현] 三首- 3 松潭 宋柟壽[송담 송남수] 산인(대사) 일현 幷序[병서]는 앞 첫 수에 병기함. 其三 踏遍烟霞興已闌[답편연하흥이란] : 안개와 노을 두루 밟으나 흥은 이미 다하여 蒼苔巖下卸吟鞍[창태암하사음안] : 푸른 이끼 낀 바위 아래 시인의 안장 풀었네. 僧從.. 송담 송남수 2017.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