重陽口占[중양구점] 3

重陽口占[중양구점]

重陽口占[중양구점] 李恒福[이항복] 중양일에 입으로 읊다. 虛庭負手履新霜[허정부수리신상] : 빈 뜰에 뒷짐지고서 서리를 처음 밟으니 秋葉號風感歎長[추엽호풍감탄장] : 가을 잎은 세찬 바람에 길게 읊어 느끼네. 黃菊且須開爛熳[황국차수개란만] : 누런 국화 또한 마땅히 곱고 빛나게 피니 老人能閱幾重陽[노인능열기중양] : 늙은 사람은 능히 몇번의 중양절 지낼까. 九日如寒食[구일여한식] : 구월 구일이 마치 한식날과 같아 空齋坐柱頤[공재좌주이] : 쓸쓸한 방에 턱을 괴고 앉아있네. 黃花與白髮[황화여백발] : 노란 국화와 더불어 흰 머리털이 相對不相宜[상대불상의] : 서로 마주하니 서로 마땅치 않네. 白沙先生集卷之一[백사선생집1권] 詩[시] 李恒福[이항복], 1556-1618,일명 鰲城大監[오성대감]. 자는 子常..

李恒福 2023.10.22

重陽口占[중양구점]

重陽口占[중양구점] 李恒福[이항복] 중양일에 입으로 읊다. 虛庭負手履新霜[허정부수리신상] : 빈 뜰에 뒷짐지고서 서리를 처음 밟으니 秋葉號風感歎長[추엽호풍감탄장] : 가을 잎은 세찬 바람에 길게 읊어 느끼네. 黃菊且須開爛熳[황국차수개란만] : 누런 국화 또한 마땅히 곱고 빛나게 피니 老人能閱幾重陽[노인능열기중양] : 늙은 사람은 능히 몇번의 중양절 지낼까. 九日如寒食[구일여한식] : 구월 구일이 마치 한식날과 같아 空齋坐柱頤[공재좌주이] : 쓸쓸한 방에 턱을 괴고 앉아있네. 黃花與白髮[황화여백발] : 노란 국화와 더불어 흰 머리털이 相對不相宜[상대불상의] : 서로 마주하니 서로 마땅치 않네. 白沙先生集卷之一[백사선생집1권] 詩[시] 李恒福[이항복], 1556-1618,일명 鰲城大監[오성대감]. 자는 子常..

李恒福 2023.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