偶題盤石[우제반석] 2

偶題盤石[우제반석]

偶題盤石[우제반석]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반석을 마주하여 쓰다. 落景離離映遠山[낙경리리영원산] : 떨어지는 햇살 뚜렷하게 먼 산에 비치니 東林風動草衣寒[동림풍동초의한] : 동쪽 숲을 바람이 흔드니 초의가 차갑구나. 秋天杳杳雲空闊[추천묘묘운공활] : 가을 하늘 아득하니 넓은 하늘은 높은데 却羨歸鴉路不難[각선귀아로불난] : 도리어 따르는 까마귀 막힘 없는 길 부럽네 離離[이리] : 여럿의 구별이 뚜렷한 모양.草衣[초의] : 속세를 떠나 숨어 사는 사람의 의복, 산야에 묻혀 숨어 사는 사람. 白沙先生集卷之一[백사선생집1권] 詩[시] 1629년 간행본 인용한국고전번역원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1991李恒福[이항복, 1556-1618] : 일명 鰲城大監[오성대감].   자는 子常[자상], 호는 弼雲[필운]·白..

李恒福 2024.07.28

偶題盤石[우제반석]

偶題盤石[우제반석]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우연히 반석에 쓰다. 落景離離映遠山[낙경이리영원산] : 쓸쓸한 햇살이 또렷하게 먼데 산에 비치니 東林風動草衣寒[동림풍동초의한] : 동쪽 숲에 바람이 일어 초의가 싸늘하구나. 秋天杳杳雲空闊[추첮묘묘운공활] : 가을 하늘 멀고 먼데 쓸쓸한 구름은 성글어 却羨歸鴉路不難[각선귀아로불난] : 넉넉히 쉬다 가는 까마귀 길 어렵지 않구나 盤石[반석] : 넓고 편편한 바위, 너럭바위. 離離[이리] : 여럿의 구별리 또렷한 모양. 草衣[초의] : 속세를 떠나 숨어사는 사람의 옷, 은자. 白沙先生集卷之一[백사선생집1권] 詩[시] 1629년 간행본 인용 한국고전번역원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1991 이항복[1556-1618].

李恒福 2021.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