乞退蒙允[걸퇴몽윤] 4-2感著首尾吟四絶[감저수미음사절]名之曰感君恩[명지왈감군은] 栗谷 李珥[율곡 이이]물러나기를 청하여 윤허를 받으매감격스러워 首尾吟[수미음]절구 4수를 지어‘感君恩[감군은]’이라 이름하다. 癸酉[계유] 1573(선조6년) 君恩許退謝籠樊[군은허퇴사롱번] : 임금 은혜 물러남 허락하여 새장을 물러나野逕蕭蕭獨掩門[야경소소독엄문] : 쓸쓸한 들판을 지나서 홀로 문을 닫았다네.四壁圖書無外事[사벽도서무외사] : 사방 벽에 도서가 있고 밖에는 일이 없으니草堂晴日是君恩[초당청일시군은] : 초당에 날이 맑으니 바로 임군의 은혜로다. 籠樊[농번] : 새장. 栗谷先生全書卷之二[율곡선생전서2권] 詩[시] 下 1814년 간행본한국고전번역원 | 영인 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9李珥[이이, 1536-1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