次李百宗[차이백종] 東溟[동명] 梅鶴亭韻[매학정운]
宋時烈[송시열]
백종 이동명의 매학정 운을 차하다.
出耟詩兼偈奉塵[출거시겸걸봉진] : 따비질 나가는 시와 겸하여 유업 받들어 힘쓰며
玉山曾臥此江濱[옥산증와차강빈] : 옥산이 일찍이 이 강의 물가에서 숨어 살았었네.
寰中未有如斯境[환중미유여사경] : 천하 가운데 이와 같은 경계 더 이상 있지 않고
世上應無似此人[세상응무사차인] : 세상에는 이 같이 응당 화답하는 사람 없으리라.
梅鶴者何而管我[매학자하이관아] : 매화와 학과 같으니 어찌 나를 다스릴 수 있으랴
利名且也不關身[이명차야불관신] : 이익과 명예 또한 나와 친히 관계하지 않는다네.
秖今太史留眞蹟[지금태사류진적] : 다만 지금 큰 문인께서 참된 자취를 남기셨으니
却怕江心有鬼神[각파강심유귀신] : 도리어 강 한가운데 귀신이 있을까 두렵구나.
梅鶴亭[매학정] : 구미시 고아읍 예강리 낙동강 언덕 위에 있는 정자.
조선 중종 28년(1533)에 조선 중기의 초서 명필가
孤山[고산] 黃耆老[황기로, 1521-1575]의 조부가
정자를 짓고 휴양지로 쓰던 곳을, 황기로가 할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정자를 다시 짓고 매학정이라 하여 서재로 사용하였다.
후에 매학정은 황기로의 사위
玉山[옥산] : 李瑀[이우, 1542-1609]가 물려받았다
(아들이 없어 모든걸 사위에게 물려줌).
이우는 신사임당의 넷째 아들로서 율곡 이이의 동생인데,
그 또한 장인인 황기로의 필체에 영향을 받아 명필가로 이름을 떨쳤다.
정자는 조선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불에 타 폐허가 되었다가,
효종 5년(1654) 이우의 증손자인 학정 이동명이 다시 지어 보존하였다.
이후 철종 13년(1862) 또 한 번 화재를 겪어 무너진 것을 새로이 지었고,
1970년대 전면적으로 보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梅鶴[매학] : 黃耆老 [황기로, 1521-1575]의 호, 자는 鮐叟[태수]. 草聖[초성]으로 알려짐.
宋子大全卷四[송자대전4권] 詩[시] 七言律詩[칠언률시]
송시열[1607-1689].
'송시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觀擊壤集偶吟[관격양집우음] (0) | 2024.11.11 |
---|---|
丁巳八月日詠懷[정사팔월일영회] (2) | 2024.11.07 |
夜坐聽雨[야좌청우]次同甫韻[차동보운]奉呈[봉정] (0) | 2024.11.03 |
次退憂所用李同甫韻[차퇴우소용이동보운] 2-2 (3) | 2024.10.30 |
次退憂所用李同甫韻[차퇴우소용이동보운]2-1 (4) | 2024.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