憑家飮歸[빙가음귀]詠溪月[영계월] 二首-1
退溪 李滉[퇴계 이황]
빙의 집에서 마시고 돌아오다 시냇물의 달을 읊다.
帶醉歸來信馬行[대취귀래신마행] : 근처에서 취하여 돌아 오며 말을 믿고서 가는데
一鉤新月照溪明[일구신월조계명] : 잠시 고리 같은 초승달 시냇물에 나타나 비추네.
縈回屢渡溪中月[영회루도계중월] : 굽이져 도는 시냇물 가운데 달을 자주 건너려니
溪月相隨曲曲淸[계월상수곡곡청] : 산골짜기 달 서로 따르며 굽이 굽이 고요하구나.
憑家[빙가] : 李滉[이황]의 숙부 李堣[이우, 1469-1517]의 아들 李憑[이빙]의 집.
退溪先生文集卷之二[퇴계선생문집2권] 詩[시]
한국고전번역원ㅣ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ㅣ1989
李滉[이황 : 1501-1570] : 본관은 眞城[진성], 자는 景浩[경호],
호는 退溪[퇴계], 退陶[퇴도], 陶搜[도수].
주자의 성리학을 심화, 발전시킨 조선의 유학자.
'이 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琴上舍夾之淸涼山韻[금상사협지청량산운] (0) | 2025.06.24 |
---|---|
憑家飮歸[빙가음귀]詠溪月[영계월] 二首-2 (0) | 2025.06.20 |
再行視陶山南洞[재행시도산남동]有作[유작] (3) | 2025.06.17 |
尋改卜書堂地[심개복서당지]得於陶山之南[득어도산지남]2-2 (2) | 2025.06.13 |
尋改卜書堂地[심개복서당지]得於陶山之南[득어도산지남] 2-1 (2) | 2025.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