咏秋月[영추월] 金履坤[김이곤]
가을의 달을 읊다.
樓高時極目[누고시극목] : 높은 누각에서 때로 멀리 바라보니
明月夜多寒[명월야다한] : 밝은 달빛이 깊은 밤 차고 아름답네.
一氣含淸露[일기함청로] : 만물의 원기는 맑은 이슬을 머금고
斜輝動遠灘[사휘동원탄] : 비껴 빛나며 여울 멀리서 움직이네.
暗驚愁裏照[암경수리조] : 가슴속 시름을 비추니 남몰래 놀라
偏入客中看[편입객중간] : 한쪽에 빠져 객적은 중에 바라보네.
相送餘情在[상송여정재] : 서로 전송하며 남은 정이 있는지라
隨人下曲欄[수인하곡란] : 사람 따라 굽이진 난간을 내려가네.
鳳麓集卷之一[봉록집1권] 詩[시]
金履坤[김이곤, 1712-1774] : 자는 厚哉[후재], 호는 鳳麓[봉록]
영조 때의 문신, 학자. 동궁시직, 신계현령 역임.
1762년(영조 38) 사도세자가 화를 입자 궐내로 달려가 통곡한 죄로 파직되었다.
시가 ·독서로 소일하다가, 1774년 신계현령이 제수되었다.
시가에서 독특한 체를 이룩하였는데, 그것을 봉록체라고 한다.
'한시 가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田家詞[전가사] 12-8 (0) | 2024.07.08 |
---|---|
杖策[장책] (2) | 2024.06.30 |
貞陵齋舍[정릉재사]與申寢郞[여신침랑] 錫寬[석관] 作[작] (0) | 2024.06.22 |
玉臺體[옥대체] (0) | 2024.06.14 |
又拈[우점] (2) | 2024.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