和箕叟韻[화기수운] 15수-3 金時習[김시습]
기수의 운에 화답하다.
地僻人稀午夢長[지벽인희오몽장] : 땅이 궁벽해 사람도 드물어 한 낮의 꿈만 긴데
晚年偏學賀監狂[만년편학하감광] : 만년엔 일부러 사명산의 광객 하지장을 배우네.
雲收靑嶂留殘照[운수청장류잔조] : 구름 거둔 푸른 산봉우리에 저녁 햇살 머물고
雨滴紅蕉逼晚涼[우적홍초핍만량] : 홍초의 빗방울에 저녁의 서늘한 기분 닥치네.
牢落生涯同鶴化[뇌락생애동학화] : 적적하고 쓸쓸한 형편이라 학이 함께 따르고
全貧活計效龜腸[온빈활계효구장] : 모두 가난하니 살 계책은 거북의 마음 본받네.
小堂淸悄無人共[소당청초무인공] : 작은 집은 맑고 고요해 함께 할 사람도 없는데
池底鳴蛙似子陽[지저명와사자양] : 연못 아래에서 우는 개구리는 자양과 같구나.
箕叟[기수] : 늙은이, 箕山叟[기산수], 기산의 늙은이, 許由[허유].
은거하는 사람 이라는 뜻인데 여기서는 누구인지 모름.
賀監[하감] : 賀知章[하지장], 秘書監[비서감]을 제수 받았으나 늘그막에 다 버리고
호를 四明狂客[사명광객]이라 하고 鏡湖[경호]를 하사 받았다.
소동파의 시에 鏡湖無賀監[경호무하감] 慟哭嵆山道[통곡혜산도]
경호에 하감 같은 이 없어 헤산의 길에고 통곡하네.
紅蕉[홍초] : 칸나.
牢落[뇌락] : 마음이 넓고 비범함, 드문 드문 섬김, 적적하고 쓸슬함.
龜腸[구장] : 거북이 창자, 옛 사람들이 거북은 아무것도 먹지 않고
오직 氣[기]만 마시고 산다고 여긴데서 온 마ㄹ, 전하여 굶주린 창자.
子陽[자양] : 公孫述[공손술]의 자, 白帝城을 건설한 사람으로 마윈이란 사람이
그를 펼하기를 "子陽[자양] 井底蛙耳[정저와이]
而妄自尊大[이맹자존대] 不如專意東方[불여전의동방의]
자양은 우물안 개구리일 뿐이니, 망령되이 스스로를 존대합니다!
그러니 동방에 전념하는 것만 못합니다." 하였다.
梅月堂詩集卷之六[매월당시집6권] 詩[시] 酬答[수답]
酬答[수답] : 묻는 말에 답하다.
金時習[김시습,1435-1493] : 자는 悦卿[열경].
호는 梅月堂[매월당], 東峰[동봉], 碧山淸隠[벽산청은], 贅世翁[췌세옹]
단종이 세조에게 양위할 때 크게 충격을 받아 실의하여
머리를 삭발하고 중이 되어 山水間에 방랑하며 절의를 지킴.
生六臣의 한 사람. 조선초기의 문인 (소설가).
'매월당 김시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和箕叟韻[화기수운] 15수-5 (1) | 2024.07.23 |
---|---|
和箕叟韻[화기수운] 15수-4 (0) | 2024.07.19 |
和箕叟韻[화기수운] 15수-2 (0) | 2024.07.09 |
和箕叟韻[화기수운] 15-1 (0) | 2024.07.04 |
早行[조행] (2) | 2024.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