九日齊山登高[구일제산등고] 杜牧[두목]
구일[중양절]에 산에 오르다.
江涵秋影鴈初飛[강함추영안초비] : 강물에 잠긴 가을 그림자에 기러기 막 날고
與客携壺上翠微[여객휴호상취미] : 손님과 더불어 술병 들고 산 중턱에 오르네.
塵世難逢開口笑[진세난봉개구소] : 속세에선 입 열고 웃는 모습 만나기 어려우니
菊花須揷滿頭歸[국화수삽만두귀] : 국화 꽃 모름지기 머리에 가득 꽂고 돌아가리.
但將酩酊酬佳節[당장명정수가절] : 다만 장차 흠뻑 취하여 아름다운 절기에 응하니
不用登臨怨落暉[불용등림원락휘] : 높은 곳에 올라 석양빛에 한탄할 일도 없다네.
古往今來只如此[고왕금래지여차] : 예나 지금이나 다만 이와 같았으니
牛山何必淚沾衣[우산하필루점의] : 우산에서 어찌 반드시 눈물로 옷을 적셔야하나.?
牛山[우산] : 景公[경공]이 우산의 북쪽에서 놀았는데 나라를 향해 서서 눈물을 흘리며 말했다.
"어떻게 눈물을 줄줄 흘리면서 이곳을 떠나 죽을 수가 있단 말인가? "
이에 애공․양구거 등이 모두 따라서 눈물을 흘렸는데 안자만이 홀로 곁에서 웃었다. ……
" 임금의 자리에 이르러서 홀로 그 때문에 우는 것은 어진 것이 아닙니다.
어질지 못한 임금으로 보이는 것이 그 잘못의 하나요,
아첨하는 신하로 보이는 것이 그 잘못의 둘이니, 이것이 신이 홀로 몰래 웃는 까닭입니다. [안자춘추․諫[간] 上]
'한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詠白鷺[영백로] 金得臣[김득신] (0) | 2015.10.21 |
---|---|
宿松江亭舍[숙송강정사] 三首 鄭澈[정철] (0) | 2015.10.21 |
息影亭雜詠[식영정잡영] 十首[10수] 鄭澈[정철] (0) | 2015.10.12 |
滌襟軒雜詠[척금헌잡영] 三首 鄭澈[정절] (0) | 2015.10.06 |
棲霞堂雜詠[서하당잡영] 四首 松江 鄭澈[송강 정철] (0) | 2015.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