送蔡伯規[송채백규] 濟恭[제공] 4-4 申光洙[신광수]
백규 채제공을 전송하며.
其四[기사]
長安有初雪[장안유초설] : 장안에 처음 온 눈이 넉넉하니
到日嶺南寒[도일령남한] : 도착한 날의 영남은 춥겠구나.
此別春應見[차별충응견] : 지금 이별은 봄 당해야 만나리니
相呼燭易殘[상호촉이잔] : 서로 부르며 촛불만 쉬이 해치네.
高秋鴻鴈盡[고추홍안진] : 높은 가을 기러기 편지 다하면
小酒菊花團[소주국화단] : 국화 꽃 작은 술자리 화목하겠지
去住心千里[거주심천리] : 가서 머물려니 마음은 천 리요
蒼蒼太白巒[창창태박만] : 태백의 산등성이 앞길 아득하네.
伯規[백규] : 蔡濟恭[채제공,1720-1799]의 자, 호는 樊巖[번암], 樊翁[번옹]
문관. 영조와 정조 때 살았고 당색은 남인이며 시파에 속함.
조선 후기 내내 탄압받는 야당 이미지였던 남인 중에서는
최고이자 최후의 거물 정치가라고 할 수 있다.
石北先生文集卷之一[석북선생문집1권]/ 詩[시]
申光洙[신광수,1712-1775] : 자는 聖淵[성연],
호는 石北[석북]·五嶽山人[오악산인],
과시의 모범이 된 關山戎馬[관산융마]를 지었다.
궁핍과 빈곤 속에서 전국을 유람하며
민중의 애환과 풍속을 시로 절실하게 노래했다.
'한시 가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堤上鄭士述[제상정사술]見訪城西[견방성서]2-2 (0) | 2024.11.27 |
---|---|
書感[서감] (2) | 2024.11.23 |
送蔡伯規[송채백규] 4-1 (2) | 2024.11.13 |
喚鶴堂[환학당]次石川韻[차석천운] (2) | 2024.11.10 |
曉發石室途中作[효발석실도중작] 2-2 (2) | 2024.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