覽物有感[람물유감] 李荇[이행]
만물을 보다 느낌이 있어.
庭杏欲黃熟[정행욕황숙] : 뜰의 살구는 노랗게 무르익어 가고
舍桃紅滿枝[사도홍만지] : 버려둔 복숭아 가지마다 붉게 가득하구나.
方知父母意[방지부모의] : 견주어 알겠네 부모님의 마음을
我亦念吾兒[아역염오아] : 나 또한 우리 아이를 마음에 두는구나.
容齋集[용재집] 容齋先生集卷之五[용재선생집 5권] 1586년 간행본
謫居錄[적거록] 弘治甲子夏四月[홍치갑자하4월] 謫忠州以後作[적충주이후작]
적거록 : 귀양살이하며 적다. 연산군 10년[1504] 여름 4월에 충주로 귀양간 후에 지은 글
李荇[이행 :1478-1534] 호는 容齋[용재]. 그는 27세[1504] 에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의 복위를 반대하다가 충주, 영남 함안, 거제도로 유배되었는데,
유배지를 옮길 때마다 충주에서는 謫居錄[적거록], 함안에서는 南遷錄[남천록],
거제도에서는 海島錄[해도록]의 시집을 남김.
29세 때 중종반정으로 복권, 이후 50세 우의정, 53세 좌의정에까지 올랐으며,
다시 김안로의 전횡을 논박하다가 좌천, 55세 때 평안도 함종에 유배되어
2년 후 그곳에서 죽었다
'한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獄中晩菊[옥중만국] 二首 (0) | 2015.08.13 |
---|---|
代悲白頭翁[대비백두옹] (0) | 2015.08.06 |
詠梅竹[영매죽] 八首[8수] (0) | 2015.07.31 |
詠梅[영매] 8수 가 지어진 연유 (0) | 2015.07.25 |
詠梅[영매] 鄭道傳[정도전] (0) | 2015.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