茅屋爲秋風所破歌[모옥위추풍소파가] 杜甫[두보]
띠풀로 엮은 집이 가을 바람에 부서지게 됨을 노래함.
八月秋高風怒號[팔월추고풍노호] : 팔월 높은 가을에 바람이 성난 듯 울부짖어
卷我屋上三重茅[춘성옥상삼중모] : 나의 집 위의 세 겹 띠 풀을 말아버렸네.
茅飛渡江灑江郊[모비도강쇄강교] : 띠 풀은 날아가 강을 건너 강둑에 쌓이는데
高者掛罥長林梢[고자괘견장림초] : 위로 날아간 것은 나뭇가지 끝에 걸리고
下者飄轉沉塘坳[하자표전침당요] : 아래로 날아 굴러간 것은 웅덩이를 메우네 .
南村群童欺我老無力[남촌군동기아노무력] : 남촌의 아이들 나를 늙어 힘없는
노인이라 업신여겨
忍能對面爲盜賊[인능대면위도적] : 이제는 능히 얼굴 마주하고 도둑질하네.
公然抱茅入竹去[공연포모입죽거] : 보란 듯이 띠 풀 안고 대숲으로 가버리니
脣焦口燥呼不得[순초구조호부득] : 입술은 타고 입은 말라서 소리도 못치고
歸來倚仗自歎息[귀래의장자탄식] : 돌아와 지팡이에 몸 기대고 한숨만 짓네.
俄頃風定雲墨色[아경풍정운묵색] : 이내 바람 멎고 먹물 색 구름이 일어나
秋天漠漠向昏黑[추천막막향혼흑] : 가을하늘 아득한데 저물어 어둠 깔리네.
布衾多年冷似鐵[포금다년냉사철] : 베 이불 여러 해 지나니 차갑기 쇠와 같고
嬌兒惡臥踏裏裂[교아악와답리렬] : 개구쟁이 아들 잠버릇 나빠 이불 속 다 찢었네.
牀頭屋漏無乾處[상두옥루무건처] : 지붕 이 새니 참상에 마른 곳 하나 없고
雨脚如痲未斷絶[우각여마미단절] : 빗 줄기 삼대 같이 내려 끊이질 않는구나.
自經喪亂少睡眠[자경상란소수면] : 몸소 난리를 겪어 잠마저 줄어
長夜沾濕何由徹[장야첨습하유철] : 긴 밤을 흠뻑 젖어 어떻게 밤을 지낼까.
安得廣廈千萬間[안득광하천만간] : 어찌하면 넓은 집 천만 간을 마련하여
大庇天下寒士俱歡顔[대비천하한사구환안] : 세상 감싸는 큰 집에
추운 선비 모두 기쁜 얼굴될까.
風雨不動安如山[풍우부동안여산] : 비바람에 끄떡없는 집 지어
산처럼 평안히 살게 할까.
嗚呼何時眼前突兀見此屋[오호하시안전돌올견차옥] : 아, 어느 때나
눈앞에 우뚝한 이런 집을 볼까나.
吾廬獨破受凍死亦足[오려독파수동사역족] : 내 집이야 부서지고
내가 얼어 죽어도 나는 족하도다.
'두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客夜[객야] (2) | 2024.09.24 |
---|---|
解悶[해민] 12-1 (0) | 2024.09.01 |
題壁上韋偃畵馬歌[제벽상위언화마가] (0) | 2024.08.22 |
石壕吏[석호리] (0) | 2024.08.06 |
熱[열] 3수-3 (0) | 2024.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