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懷十一首[추회십일수]-1 退溪 李滉[퇴계 이황]
讀王梅溪和韓詩有感[독왕매계화한시유감]仍用其韻[잉용기운]
가을 회포 11수,-1
왕매계가 화답한 한유의 시를 읽고 느낌이 있어 인하여 그 운을 쓰다.
吾衰學老圃[오쇠학로포] : 나는 노쇠하여 농삿일 배우며 늙어가고
種瓜瓜薿薿[종과과의의] : 오이 심었더니 오이가 우거져 무성하네.
瓜成一再摘[과성일재적] : 오이가 무성해져 한 번 두 번 따냈더니
摘勢殊未已[적세수미이] : 따는 시기가 지났어도 그치지 아니하네.
秋風動園林[추풍동원림] : 가을 바람이 동산과 숲속에 일어나니
蟪蛄鳴惻耳[혜고명측이] : 여치와 털매미 귀에 슬프게 우는구나.
瓜畦有宿萎[과규유숙위] : 오이 밭두렁 시든지 오래되어 있으니
瓜蔓無新起[과만무신기] : 오이 덩굴은 새로 일어나지 않는구나
萬物天壤間[만물천양간] : 세상 모든 것 하늘과 땅 사이 섞이니
其變盡相似[기변진상이] : 그 변화함은 이와 같이 다 없어지네.
天道自有常[천도자유상] : 하늘의 도리 스스로 영원함이 있지만
人情已難恃[인정이난시] : 세상 사람 마음은 너무 믿기 어렵구나.
感物隱幽衷[감물은유충] : 만물을 느끼어 마음속 그윽히 숨기고
撫迹追前軌[무적수전궤] : 선례를 쫓아 앞 바퀴자국을 따라가네.
浮榮儻來去[부영당래거] : 덧 없는 영화는 갑자기 오고 가는데
何足爲悲喜[하족위비희] : 어찌 넉넉하게 기쁨과 슬픔 다스릴까.
王梅溪[왕매계] : 王十朋[왕십붕,1112-1171], 宋[송]나라 시인, 문신.
朱熹[주휘], 汪應辰[왕응신] 등의 학자들과 교유,
소식의 시를 집주한 集註分類東坡先生詩[집주분류동파선생시]로 유명.
韓詩[한시] : 韓愈[한유, 768-824]의 시, 자는 退之[퇴지].
唐宋八大家[당송팔대가]의 한 사람.
浮榮[부영] : 덧 없는 세상의 헛된 영화.
退溪先生文集卷之二[퇴계선생문집2권] 詩[시]
한국고전번역원ㅣ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ㅣ1989
李滉[이황 : 1501-1570] : 본관은 眞城[진성], 자는 景浩[경호],
호는 退溪[퇴계], 退陶[퇴도], 陶搜[도수].
주자의 성리학을 심화, 발전시킨 조선의 유학자.
'이 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秋懷十一首[추회십일수]-2 (0) | 2025.02.11 |
---|---|
奉酬南時甫見寄[봉수남시보경기] (0) | 2025.02.03 |
贈別應順[증별응순] (0) | 2025.01.29 |
次韻金應順秀才[차운김응순수재] (1) | 2025.01.23 |
滉近再蒙召命[황근재몽소명] 3-3 (0) | 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