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봄

盤溪感懷[반계감회]2-1

돌지둥[宋錫周] 2021. 7. 7. 08:19

盤溪感懷[반계감회]   金昌翕[김창흡]

반계에서 회포를 느끼어.

 

其一[기일]

亭臯老樹尙婆娑[남고로수상파사] : 정자 언덕의 늙은 나무 가볍게 나부끼며 높은데

上有危巢護我家[상유위소호아가] : 위에 자리한 높은 새집이 우리 집을 보호해주네.

半日彷徨猶露草[반일방황유로초] : 한나절 이리 저리 헤매니 오히려 잡초에 젖었고

百年嗚咽在漁簑[백년오열재어사] : 많은 세월 목메어 울던 도롱이 쓴 어부도 있구나.

江移桑土來帆逼[강이상두래범핍] : 뽕나무 뿌리 강으로 옮기니 돛단배 가까이 오고

潮滿楊川去鴈斜[조만양천거안사] : 양천에 밀물 가득하니 기러기는 비껴 가는구나.

聞說前溪魚蟹賤[문설전계어해천] : 듣자하니 시내 앞에는 물고기와 게를 경시하니

隣家有樂莫相誇[인가유락막상과] : 즐거움이 있는 이웃 집에 서로 자랑하지 말게나.

 

婆娑[파사] : 춤추는 소매가 가볍게 나부끼는 모양, 쇠하여 가냘픈 모양.

半日[반일] : 한나절.

彷徨[방황] : 방향이나 위치를 잘 몰라 이리 저리 헤매이는 것.

桑土[상두] : 뽕나무 뿌리, 桑土綢繆[상두주무], 새는 장마가 오기 전에 미리

   뽕나무 뿌리를 물어다가 둥지의 새는 곳을 막는다고 한다.

   현명한 새는 폭풍우 같은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지혜를 지닌 셈이다.

   綢繆[주무]는 칭칭 감는다는 뜻으로

   미리 빈틈없이 꼼꼼하게 준비한다는 뜻을 가졌다.

 

三淵集卷之五[삼연집5권] 詩[시]

金昌翕[김창흡 : 1653-1722], 자는 子益, 호는 三淵. 

'한시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月下看梅[월하간매]  (0) 2021.07.14
咸興城樓偶吟[함흥성루우음]  (0) 2021.07.10
江居[강거]  (0) 2021.07.05
弼雲臺賞花[필운대상화]  (0) 2021.07.05
勞軍橋[노군교]  (0) 2021.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