灌蔬[관소] 金時習[김시습]
푸성귀에 물을 대다.
蕭散遺人事[소산유인사] : 쓸쓸하고 한가히 사람 일만 남았으니
持瓢灌小園[지표관소원] : 바가지 가지고서 작을 뜰에 물을 주네.
風過菜花落[풍과채화락] : 바람이 지나치니 채소 꽃이 떨어지고
露重芋莖飜[노중우경번] : 이슬이 무거워 토란 줄기가 뒤집히네.
地險畦町短[지험휴정단] : 땅이 험하니 밭과 밭두렁은 짧은데다
山深草樹繁[산심초수번] : 산이 깊으니 풀과 나무만 무성하구나.
晚年勤學圃[만년근학포] : 늙은 나이에 채소밭 부지런히 배우며
不是效如樊[불시효여번] : 마땅히 어수선함 배우려는것 아니라네.
梅月堂詩集卷之六[매월당시집6권] 詩[시] 菜[채]
金時習[김시습,1435-1493] : 자는 悦卿[열경].
호는 梅月堂[매월당], 東峰[동봉], 碧山淸隠[벽산청은], 贅世翁[췌세옹]
단종이 세조에게 양위할 때 크게 충격을 받아 실의하여
머리를 삭발하고 중이 되어 山水間에 방랑하며 절의를 지킴.
生六臣의 한 사람. 조선초기의 문인 (소설가).
'매월당 김시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嘉蔬[가소] (0) | 2023.11.29 |
---|---|
種蔬[종소] (1) | 2023.11.22 |
懶治花塢[나치화오] (0) | 2023.11.15 |
訪友於三淸宮[방우어삼청궁]適醮立冬[적초입동] (0) | 2023.11.07 |
野草[야초] (0) | 2023.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