江山[강산] 金履坤[김이곤]
강과 산.
江山往跡水滔滔[강산왕적수도도] : 강산을 지나온 자취에 강물 도도히 흐르고
獨夜登臨漢北臯[독야등림한북고] : 외로운 밤 한강 북쪽 언덕에 올라 지켜보네.
逋老村墟餘古木[포로존허여고목] : 달아난 노인의 농막 언덕엔 고목만이 남고
尙書門巷雜荒蒿[상서문항잡황고] : 상서의 문 앞 거리엔 거친 쑥만 섞여있구나.
遙汀颿逐踈星轉[요정범축소성전] : 먼 물가를 빠르게 쫓아 맴도는 별들 드물고
絶岸樓爭落月高[정안루쟁락월고] : 뛰어난 언덕 논하는 누각에 높은 달이 지네.
竹裏故人多感慨[죽리고인다감개] : 대나무 가운데 오랜 친구 감개가 겹치니
巴陵西去買春醪[파릉서거매춘료] : 파릉 서쪽으로 가서 봄 막걸리를 산다네.
滔滔[도도] : 물이 그득 퍼져 흘러가는 모양.
尙書[상서] : 고려시대 상서성의 정 3품 관직,
조선의 6조 판서의 전신.
感慨[감개] : 매우 감격하게 마음 속 깊이 느끼어 탄식함,
깊은 회포를 느낌, 마음속으로 사무치게 느낌.
巴陵[파릉] : 경기도 陽川縣[양천현]의 옛 이름.
鳳麓集卷之一[봉록집1권] 詩[시]
金履坤[김이곤, 1712-1774] : 자는 厚哉[후재], 호는 鳳麓[봉록]
영조 때의 문신, 학자. 동궁시직, 신계현령 역임.
1762년(영조 38) 사도세자가 화를 입자 궐내로 달려가 통곡한 죄로 파직되었다.
시가 ·독서로 소일하다가, 1774년 신계현령이 제수되었다.
시가에서 독특한 체를 이룩하였는데, 그것을 봉록체라고 한다.
'한시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出山道中口占[출산도중구점] (2) | 2024.09.11 |
---|---|
偶吟[우음] (9) | 2024.09.10 |
到玄江[도현강]和主人韻[화주인운] (8) | 2024.09.03 |
望陵[망릉] (2) | 2024.08.29 |
日[일] (0) | 2024.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