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시열

敬次重峯先生二止堂韻[경차중봉선생이지당운]

돌지둥[宋錫周] 2023. 11. 9. 05:25

敬次重峯先生二止堂韻[경차중봉선생이지당운]

酬金使君正平[수김사군정평] 萬均[만균]

宋時烈[송시열]

공경하는 중봉선생의 이지당 운을 차하여
정평 김만균 사군에게 보내다.

 

新構臨淸泚[신구림청차] : 새로 지은 집 맑은 강에 임했으니  
山頹問幾秋[산퇴문기추] : 태산이 무너진지 몇 해인가 묻노라.   
天衢箕尾遠[천구기미원] : 하늘 네거리에 기성과 미성은 멀고  
人世歲星周[인세세성주] : 인간 세상엔 세월의 별이 돌아가네. 
事業朱書裏[사업주서리] : 사업은 주희의 편지글 속에 있고  
淵源德水遊[연원덕수유] : 연원은 율곡에게 공부하였다네.  
欲陳明酌薦[욕진명작천] : 맑은 술잔 베풀어 올려드리고자  
蘋藻採芳洲[빈조채방주] : 네가래와 마름을 물가에 캐었노라  

末句[말구]一本[일본]作 : 마지막 구가 한 본에짓기를

平生勤仰止[평생근앙지] : 평생에 사모함 간절했으니

今日立汀洲[금일입정주] : 오늘도 물가에 섰노라

 

重峯[중봉] : 趙憲[조헌, 1544-1592]의 호, 자는 汝式[여식], 다른 호는 陶原[도원]·後栗[후율].

   임진왜란 당시 금산에서 700명의 의병을 이끌고 끝까지 분전했으나 중과부적으로 모두 전사.

二止堂[이지당] : 충북 옥천군 군북면 이백리에 있는 서당.

   趙憲[조헌]이 지방의 영재를 모아 강론하여 많은 인재를 배출한 곳.

   처음에는 覺新洞[각신동]이라는 마을 이름에서 각신서당이라 하였다.

    趙憲[조헌]이 죽은 뒤 82년 뒤인 1674년 김만균이 다시 건립하고 

   송시열이 《詩經[시경]》 小雅[소아]의 "高山仰止[고산앙지] 景行行止[경행행지]"라는

   문구를 인용해 二止堂[이지당]이라고 하였다. 이는 "높은 산을 우러러 보아야하고,

   큰길을 따라 가야한다"는 내용으로 두 번에 걸쳐 그칠 止[지]자가 사용된 것을 인용.

正平[정평] : 金萬均[김만균, 1631-?]의 자, 호는 思休[사휴]·醉仙[취선]·梨湖[이호].

  조선 후기 사인, 보덕, 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 송시열 문인.

箕尾[기미] : 莊子[장자] 大宗師[대종사]에 "殷[은]나라 傅說[부열]이 죽어서

    箕星[기성]과 尾星[미성]사이 중간에 올라 앉아 列星[열성]과 자리를 나란히 하였다"

    여기서는 趙憲[조헌]이 죽은 지 오래되었음을 뜻함.

淵源[연원] : 사물의 근원.

德水[덕수] : 德水 李氏[덕수 이씨]  栗谷[율곡] 李珥[이이] 의 문인.

蘋藻[빈조] : 물위에 떠 있는 풀과 물속에 잠겨 있는 풀

 

宋子大全卷二[송자대전2권] 詩[시]五言律[오언률] (1607-1689)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