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호 임제

到住雲庵[도주운암]

돌지둥[宋錫周] 2024. 6. 18. 07:01

到住雲庵[도주운암]  林悌[임제]

주운암에 이르러.

庵在俗離山[암재속리산]公年弱冠[공년약관]

受業於大谷先生[수업어대곡선생]

入此山讀書[입차산독서]數歲而還[수세에환]

암자는 속리산에 있으며 공의 나이 에

대곡선생께 수업을 받으며

이 산에서 독서하다 수년후 돌아왔다.

 

步步却淸曠[보보각청광] : 걸은 걸음 도리어 맑고 밝아지니

自驚塵世蹤[자경진세로] : 스스로 티끌 세상 따르다 놀랐네.

巖奇或如虎[암기혹여호] : 바위는 기이하여 혹 호랑이 같고

松老盡成龍[송로진성룡] : 소나무 늙어 모두 크고 노쇠하네.

路馬頻蹶[설로마빈궐] : 눈 내린 길에 말은 자주 넘어지고

幽林人未逢[유림인미봉] : 숲이 깊어 사람들 만나지 못하네.

行尋翠微寺[행심취미사] : 산의 중턱의 절을 찾아 가려다가

柱杖望千峯[주장망천봉] : 지팡이 괴고 일천 봉우리 바라보네.

 

住雲庵[도운암] :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 속리산 법주사에 딸렸던 암자.

大谷[대곡] : 成運[성운, 1497-1579]의 호, 자는 健叔[건숙]. 형님 成遇[성우]가

   을사사화로 화를 당하자 속리산에 은거하였다. 백호 임제가 22세 겨울
   충청도를 지나며 쓴 시가 성운에게 알려지며 성운을 스승으로 모셨다 함.

翠微[취미] : 산의 중턱, 먼 산에 아른아른 보이는 엄은 푸른 빛.

 

林白湖集[임백호집]  卷之一[권지일] 五言近體[오언근체]

林悌[임제, 1549-1587] : 자는 子順[자순], 호는 白湖[백호], 楓江[풍강] 등.

   서북도 병마평사로 임명되어 임지로 부임하는 길에 황진이의 무덤을 찾아가

  시조 한 수를 짓고 제사지냈던 일과 기생 寒雨[한우]와 시조를 주고받은 일

  평양기생과 평양감사에 얽힌 일화도 유명하다. 

 

'백호 임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謝金遠期携酒來尋[사김원기휴주래심]  (0) 2024.06.27
法住寺有得[법주사유득]  (0) 2024.06.21
白蓮社[백련사]次子寬韻[차자관운]  (4) 2024.06.10
苦熱[고열]  (2) 2024.06.05
醉呈朴使相[취정박사상]  (0) 2024.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