偶成[우성]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우연히 이루다.
薛服棲巖久[벽복서암구] : 벽복으로 석굴에 거처한 지 오래라
沖虛近紫霞[충암근자하] : 거리낌 없는 자주빛 노을 가깝구나.
無營由分定[무영유분정] : 경영함이 없음 몫을 정한 까닭이요
有得覺天和[유둑각천화] : 얻음이 많음 하늘이 응함을 깨닫네.
浥露餐朝菊[읍로찬조국] : 이슬에 젖은 아침 국화를 찬미하고
歸林見暮鴉[귀림견모아] : 숲으로 돌아가는 저녁 까마귀 보네.
悠然成一趣[유연성일취] : 유연하게 한결같은 풍취를 이루어
樂處卽爲歌[낙처즉위가] : 즐거운 곳에서 노래 하며 나아가네.
薛服[벽복] : 薜蘿[벽라]로 엮어 만든 옷, 은자의 옷. 칡베.
沖虛[충허] : 텅 빔, 아무 거리낌이 없음.
紫霞[자하] : 자주빛 노을, 선경에 떠돈다는 자줏빗의 雲氣[은기].
分定[분정] : 못을 나누어 정함.
悠然[유연] : 유유하고 태연함, 침착하고 여유가 있음.
白沙先生集卷之一[백사선생집1권] 詩[시] 1629년 간행본 인용
한국고전번역원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1991
李恒福[이항복, 1556-1618] : 일명 鰲城大監[오성대감].
자는 子常[자상], 호는 弼雲[필운]·白沙[백사]·東岡[동강].
'李恒福'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秋日[추일] (2) | 2024.05.03 |
---|---|
秋日遊道峯山[추일유도봉산] (0) | 2024.04.30 |
讀皇極經世書[독황극경세서] (0) | 2024.04.23 |
重陽[중양]出坐溪上[출좌계상] (2) | 2024.04.20 |
加平郡虎巖洞[가평군호암동] (0) | 2024.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