馳筆[치필]次袁小修集中韻[차원소수집중운] 8-1
李德懋[이덕무]
붓을 움직여 원소수집의 운을 차하다.
恬聽廚婢詈無糈[염청주비리무서] : 부엌의 첩이 양식이 없다 꾸짖어도 담담히 듣고
不廢吾吟靜室居[불폐오음정실거] : 나는 읊기를 멈추지 않고 고요한 방에 앉아있네.
通軆可堪長貯酒[통체가감장저주] : 온 신체는 가히 항상 술을 저장하는 걸 감당하고
雙眸未忍暫抛書[쌍모미인잠포서] : 두 눈은 잠시라도 글을 버리는 걸 참지 못하겠네.
窓楞甚黠緣絲蟢[창릉심힐연사희] : 창문 모서리엔 몹시 교활한 갈거미 줄을 두르고
衣摺工逋脫粉魚[의접공포탈분어] : 옷의 주름엔 좀벌레 떨어져 공교하게 도망치네.
益悟寬閒元快活[익오관한원쾌활] : 한가히 물러나 점점 쾌활한 기운을 깨달았으니
梅花十畝手當鋤[매화십묘수당서] : 열 이랑의 매화나무에 마땅히 스스로 김맨다네.
小修[소수] : 袁中道[원중도,1570-1623] 의 자.
벼슬은 南京[남경] 禮部郞中[예부낭중]에 오르고,
珂雪齋文集[가설재문집] 24권이 있다.
粉魚[분어] : 청장관 전서에 딱 두번 나오는 단어로
아마 좀벌레로 의역하여 풀이 합니다.
靑莊館全書卷之十[청장관전서9권]
雅亭遺稿二[아정유고2]○詩二[시2]
李德懋[이덕무,1741-1793] : 자는 懋官[무관],
호는 炯庵[형암]·雅亭[아정]·靑莊館[청장관]·
嬰處[영처]·東方一士[ 동방일사]·信天翁[신천옹].
관독일기, 편찬잡고, 청비록 등을 저술한 유학자. 실학자.
'李德懋[이덕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馳筆[치필]次袁小修集中韻[차원소수집중운] 8-3 (0) | 2025.04.30 |
---|---|
馳筆[치필]次袁小修集中韻[차원소수집중운] 8-2 (0) | 2025.04.17 |
雨屋搖筆[우옥요필] (0) | 2025.04.03 |
苦雨被酒戱書[고우피주희서] (0) | 2025.03.29 |
雨中[우중]乞酒于醉玄子[걸주우취현자]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