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興[추흥] 八首[8수]-2 杜甫[두보]
가을의 흥취. 2
夔府孤城落日斜[기부고성락일사] : 기주 고을의 외로운 성에 지는 해가 기울어지면
每依北斗望京華[매의북두망경화] : 매양 북두성을 의지하여 화려한 서울을 바라보네.
聽猿實下三聲淚[청원실하삼성루] : 엿보던 원숭이 세 소리에 마침내 눈물이 떨어지고
奉使虛隨八月槎[봉사허수팔월사] : 사명을 받들고자 팔월의 뗏목을 헛되이 따랐다네.
畫省香爐違伏枕[화성향로위복침] : 상서성 향기로운 향로에 어긋나 베개에 엎드리니
山樓粉堞隱悲笳[산루분첩은비가] : 산위의 누각 성가퀴에 시름겨운 호드기 가엾구나.
請看石上藤蘿月[청간석상등라월] : 돌 위의 등나무 덩쿨의 달빛을 청하여 보노라니
已映洲前蘆荻花[이영주전노적화] : 이미 물가 앞의 물억새와 갈대 꽃을 비추는구려.
夔府[기부] : 夔州[기주] 고을, 四川省[사천성] 동쪽 끝의 고을.
三聲淚[삼성루] : 水經注[수경주] 江水注[강수주]에 실린 巴東三峽歌[파동삼협가]에,
巴東三峽巫峽長[파동삼협무협장] : 파동 삼협에 무협이 긴데,
猿鳴三聲淚沾裳[원성삼성루점상] : 원숭이 울음 세 마디에 눈물이 옷깃을 적시네.
八月槎[팔월사] : 매년 8월마다 은하수를 오간다고 하는 전설 속에 나오는 뗏목,
博物志[박물지] 제10권에, "옛말에 은하수가 바다와 통해 있다고 하였다.
근래에 바닷가에 사는 어떤 사람이 있었는데,
매년 8월이면 뗏목을 타고 떠서 오가는데, 시기를 놓치지 않았다." 하였다.
畫省[화성] : 尙書省[상서성], 상서성 안에 胡粉[호분]으로 벽을 바르고
옛날 현인과 열사를 그려놓았기 때문.
粉堞[분첩] : 石灰[석회]를 바른 성가퀴. 城堞[성첩].
全唐詩[전당시]
'두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秋興[추흥] 八首[8수]-4 (0) | 2023.02.15 |
---|---|
秋興[추흥] 八首[8수]-3 (0) | 2023.02.12 |
歸雁[귀안] (0) | 2022.12.01 |
出郊次秋興[출교차추흥] 八首-1 (0) | 2022.11.28 |
奉答岑參補闕見贈[봉답잠삼보궐견증] (0) | 2022.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