戱贈鄭溧陽[희증정률양] 李白[이백]
정률양에게 심심하여 지어 보내다
陶令日日醉[도령일일취] : 도연명은 날마다 취하여
不知五柳春[부지오류춘] : 다섯 그루 버드나무에 봄을 알지 못하네.
素琴本無絃[소금본무현] : 소박한 거문고엔 본래 줄이 없고
漉酒用葛巾[록주용갈건] : 갈건으로 써서 술을 걸렀다네.
淸風北窓下[청풍북창하] : 맑은 바람 불어오는 북창 아래서
自謂羲皇人[자위희황인] : 스스로 이르길 복희 황제의 사람이라네.
何時到栗里[하시도율리] : 어느 시절 율리로 가서
一見平生親[일견평생친] : 평생의 친구를 한번 만나보리.
鄭溧陽[정율량] : 鄭晏[정안]이라고도 하는데 이태백의 친구다
陶令[도령] : 晉[진]의 處士[처사] 陶淵明[도연명]이 彭澤令[팽택령]을 지냈으므로.
五柳[오류] : 도연명은 문 앞에 다섯 그루의 버드나무를 심어놓고 스스로 五柳先生[오류선생]이라 함.
素琴[소금] : 陶淵明蓄素琴一張 徽絃不具 每撫而和之曰 但得琴中趣 何勞絃上聲
[도연명축소금일장 휘현불구 매무이화지왈 단득금중취 하로현상성]
도연명이 평소 거문고 하나를 마련해 두었는데, 徽와 絃을 갖추지 않고 언제나 어루만지며 말하길,
“다만 거문고 가운데의 취미를 얻을 뿐이니, 어찌 수고롭게 줄을 튕겨 소리를 내겠는가” 하였다.
葛巾[갈건] : 王弘[왕홍]이 고을의 장수인 도연명을 문안 하였는데, 도연명은 술이 익자
마침내 머리에 썼던 갈건을 벗어 술을 거르고 다시 갈건을 머리에 썼다는 일화.
古文眞寶前集[고문진보전집] 037 勸學文卷一[권학문1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