種菊呈李丈[종국정이장] 谿谷 張維[계곡 장유]
국화를 심고 이장에게 드리다.
南隣乞菊蒔東籬[남린걸국시동린] : 남쪽 이웃에서 국화 얻어 동쪽 울타리에 심으니
煙雨冥冥長綠枝[연우명명장록지] : 안개비가 어둡게 잠기어 긴 가지가 푸르구나.
待到霜天開爛熳[대도상천개란만] : 서리내리는 밤하늘 기다려 화려하게 피어 빛나고
濁醪相對賦新詩[탁료상대부신시] : 막걸리 서로 마주하여 새로이 부와 시를 짓네.
籬邊對酒陶潛醉[리변대주도잠취] : 울타리 가에 술을 마주하여 도잠은 취했고
澤畔餐英屈子飢[택반찬영굴자기] : 굴자는 굶주려 택반에서 국화꽃잎 먹었네.
肯與衆芳爭物色[긍여중방쟁물색] : 뭇 꽃들이 감히 더불어 물색을 다투랴
獨憐千載愜心期[독련천재협심기] : 천년을 홀로 사랑하는 뜻에 기약하여 만족하네.
陶潛[도잠] : 陶淵明[도연명], 採菊東籬下[채국동리하] 悠然見南山[유연견남사] : 동쪽 울타리 아래에서
국화꽃 따다가, 남산을 바라보니 유연하구나. 飮酒[음주]라는 시에서 인용, [도연명집 3권]
澤畔[택반] : 屈原旣放[굴원기방] 游於江潭[유어강담] 行吟澤畔[행음택반] : 굴원이 쫓겨난뒤 강담에서 놀았고
택반에서 읊었다.[漁夫辭]에서 인용.
餐英[찬영] : 朝飮木蘭之墜露兮[조음목난지추로혜] : 아침엔 목란에 맺힌 이슬 마시고
夕餐秋菊之落英[석찬추구지낙영] : 저녁엔 가을 국화의 떨어진 꽃을 먹네. 楚辭[초사] 離騷[이소]
屈子[굴자] : 楚나라 屈原[굴원].
谿谷先生集卷之三十三[계곡선생집 33권] 七言絶句[7언절구] 1643년 간행본
'한시 가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謝菊[사국] 二首 金正喜[김정희] (0) | 2015.09.11 |
---|---|
重陽黃菊[중양황국] 金正喜[김정희] (0) | 2015.09.10 |
十日菊[십일국] 李穀[이곡] (0) | 2015.09.06 |
九日無菊 (0) | 2015.09.05 |
殘菊[잔국] 金誠一[김성일] (0) | 2015.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