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風[고풍]七首[7수]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其一
歲暮連日雪[세모연일설] : 세모에 매일 잇달아 눈내리니
百卉俱拉摧[백회구랍최] : 모든 초목이 전부 꺽여 부러지네.
政恐入新春[정공입신춘] : 정말로 두렵기는 새봄이 오는데
陰雲仍未開[음운잉미개] : 구름 그늘 개지 않을까 슬프다오.
娟娟一樹梅[연연일수매] : 예쁘고 아리따운 매화 한 그루
脈脈在空谷[맥맥재공곡] : 끊이지 않은 빈 골짜기에 있네.
幽香人不知[유향인부지] : 그윽한 향기 사람들 모르지만
瘦骨淸如玉[수골청여옥] : 작고 가늘은 몸에 맑은 옥 같구나.
其二
宵寒夢易破[소한몽이파] : 추운 밤에 꿈마저 쉽게 깨고
展轉不自聊[전전부자료] : 되척이며 스스로 편하지 못하네.
攬衣起窺戶[남의기규호] : 옷을 취해 일어나 집을 살피니
落落星月高[낙락성유고] : 큰 솔은 늘어지고 별과 달은 높구나.
開爐具燈火[개로구등화] : 화롯불 펴고 등잔 불 갖추어
坐聽風枝號[좌청풍지호] : 앉아서 바람 가지 부르짓는 소릴듣네.
念彼窮谷士[염피궁곡사] : 저 외진 골짜기의 선비를 생각하니
誰與同其袍[수여동기포] : 누구와 더불어 함께 그를 품을까 ?
其三
公子遠行役[공자원행역] : 공자는 먼 곳으로 가야하는데
鞍馬光翕赩[안마광흡혁] : 말 안장엔 붉은 빛이 성하구나.
憔悴玉樓妾[초췌옥루첩] : 애태우며 근심하는 옥루의 여인은
忍淚不敎滴[인루불교적] : 눈물을 참으며 흘리지 않으려하네.
念之不可忘[염지불가망] : 마음에 두고 이를 가히 잊지못하여
奮飛無羽翼[분비무익익] : 떨치고 날려해도 날개 깃이 없구나.
寒鍾鳴苦遲[한종명고지] : 새벽 종이 더디게 울리니 괴로운데
何時東方白[하시동방백] : 어느 때나 동쪽 방향이 밝아지려나.
其四
三冬天地閉[삼동천지폐] : 한 겨울 하늘과 땅은 닫히고
龍蛇蟄幽宮[용사칩유궁] : 용과 뱀은 깊숙한 궁에 숨었네.
世道多反覆[세도다반복] : 세상 이치는 반복이 많지만
君子有固窮[군자유고궁] : 군자는 곤궁함을 이겨낸다네.
虛窓列遠岫[허창렬원수] : 창 틈으로 멀리 산봉우리 줄짓고
白雲度晴空[백운도청공] : 흰 구름 한가히 하늘을 지나네.
從嗔不迎客[종진불영객] : 손을 맞아 성내지 않고 모시고
揮琴送飛鴻[휘금송비홍] : 거문고 타며 날아가는 기러기 보내네.
其五
蘇秦學鬼谷[소진학귀곡] : 소진은 귀곡자에게 배웠으니
適取勞其生[적취로기생] : 마땅히 받아들여 그 삶은 고달펐네.
起來佩相印[기래패상인] : 그후 일어나 승상의 인을 차니
足使妻嫂驚[족사처수경] : 족히 아내와 형수로 하여금 놀라게 하였네.
胡爲任寸舌[호위임촌설] : 어찌하여 한치 혀의 재주로
抵死談縱橫[저사담종횡] : 죽기를 작정하고 종횡을 말했던가.
便有二頃田[변유이경전] : 곧 두이랑의 밭이 있어도
知渠不躬耕[지거불궁경] : 그는 몸소 밭갈지 못했음을 알리라.
其六
山中有故人[산중유고인] : 산중에 친구가 있어
貽我尺素書[이아척소서] : 짧은 편지글을 전해왔네.
學仙若有契[학선약유계] : 신선을 배워 이에 맞는게 있다면
此世眞蘧廬[차세진거려] : 이 세상은 진정 오막살이라.
軒裳非所慕[헌상비소모] : 높은 벼슬 원하는 바 아니지만
木石難與居[목석난여거] : 가난과 더불어 살기는 어렵다네.
不如飮我酒[불여음아주] : 내가 술 마시는 것만 못하니
死生任自如[사생임자여] : 죽고 사는것 자연에 맡기노라.
其七
淸朝樂無事[청조락무사] : 맑은 아침 일이 없음을 즐기니
十日九下帷[십일구하유] : 십일에 구일은 휘장을 내리네.
偶然出官道[우연출관도] : 우연히 벼슬길에 나아가
立馬看奔馳[입마간분치] : 말을 세워 빠르게 달리는걸 바라보네.
草草功名士[초초공명사] : 바빠서 거친 공명의 벼슬
紛紛豪俠兒[분분호협아] : 호협한 사내 바쁘기만하구나.
歸來對黃卷[귀래대황권] : 돌아 와서 책을 마주하여
一笑還自怡[일소환자이] : 한번 웃음에 도리어 절로 즐거워지네.
益齋亂稿卷第三[익재난고제3권] 詩[시] 1698년 간행본 인용
애고 힘드네요 !
'한시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月節變曲[월절변곡] 2월 (0) | 2016.01.04 |
---|---|
集句[집구] 崔集均[최집균] (0) | 2016.01.01 |
칠애시 (0) | 2015.11.07 |
사명대사의 시 (0) | 2015.10.30 |
高山九曲歌[고산구곡가] (0) | 2015.03.05 |